시간제 보육 인프라 및 국공립어린이집 확대한다

  • 서울시, 시설·가정 보육 지원 종합대책 추진

아주경제 권경렬 기자=맞벌이 부부들이 몇시간 동안 아이를 맡길 수 있는 ‘시간제 보육’ 인프라가 현행 영유아플라자에서 국공립어린이집이나 동주민센터 등으로 확대된다. 현재 시내 어린이집 중 11% 가량에 불과한 국공립어린이집은 2018년까지 30% 수준으로 늘어난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의 ‘서울시 시설·가정 보육 양립 지원 종합대책’을 마련·추진 중이라고 28일 밝혔다.

시간제 보육이란 시내 25개 자치구에 설치된 영유아플라자에서 4시간 미만 시간 동안 아이들을 맡길 수 있는 제도다. 전담 시간제 보육교사가 1명씩 배치되며 교사 1명당 7명의 아이들을 돌보게 된다.

대책에 따르면 현재 15곳 영유아플라자에서 시행 중인 시간제 보육을 내년 20곳으로 확대키로 했다. 2014년까지 국공립어린이집이나 동주민센터·아파트 단지 내 유휴공간 75곳을 선정해 시간제보육이 가능하도록 인력과 시설을 갖추도록 했다.

대책은 또 가정에서 돌봄 서비스를 원하는 부모를 위해 YWCA 등 4개 비영리단체에 인건비와 운영·교육비 등을 지원해 가정보육사가 파견할 예정이다. 이들 단체 소속 가정보육사는 2014년부터 매년 200명씩 늘려 2017년까지 600명을 양성한다.

보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내후년 보육서비스의 품질과 인력관리를 전담하는 전문기관을 설립해 4만6470명에 이르는 보육 관련 돌봄 종사자를 통합관리할 방침이다.

자치구별로 1명씩 보육교사·사회복지사·유치원교사 자격증이 있는 보육코디네이터를 양성해 부모들이 자조적으로 육아 돌봄 공동체 모델을 개발, 실현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 공모를 거쳐 육아 돌봄 공동체에 최대 5000만원씩 2017년까지 70곳에 자금을 지원한다.

국공립어린이집은 올해 80곳, 내년 100곳, 내후년 100곳 등으로 늘려 시내 424개동에 최소 2곳씩 설치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6105개 시내 어린이집 중 658개(11%)에 불과한 국공립어린이집을 2018년까지 1831개(30%)으로 늘린다는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