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업계 "곳간은 차는데 돈 굴릴 데가 없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8-01 15:1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총자산 600조원 돌파…자산운용수익률 은행 정기적금 이자 수준

 
아주경제 장기영 기자= 보험사들이 저조한 자산운용수익률을 기록하면서 600조원대로 불어난 총자산이 빛 좋은 개살구에 그치고 있다.

1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국내 주요 보험사의 총자산은 우리나라 정부의 올해 예산 약 325조원의 2배 수준인 620조4391억원이었다.

지난해 12월 말 558조407억원을 기록한 보험사의 총자산은 석 달여 만에 사상 처음으로 600조원을 돌파했다.

생명보험사와 손해보험사의 총자산은 각각 496조5784억원, 123조8607억원이었으며 총자산이 가장 많은 곳은 삼성생명(160조5894억원)이었다.

나머지 보험사별 총자산은 대한생명(68조8447억원), 교보생명(62조3608억원), 삼성화재(38조6212억원), NH농협생명(38조3743억원), 현대해상(17조5712억원), 동부화재(17조5314억원), LIG손보(14조8729억원) 순이었다.

그러나 보험사들은 이 같은 자산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저조한 자산운용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보험사의 자산운용수익률은 평균 4~5%대로 은행의 1년 만기 정기적금 금리 3.8~4%와 비슷한 수준이다.

생보사들의 자산운용수익률은 ING생명(4.9%), 메트라이프생명(4.8%), 알리안츠생명·흥국생명·라이나생명(4.6%), AIA생명(4.4%) 순으로 평균 4%대에 머물렀다.

총자산 규모가 가장 큰 삼성생명은 이들 생보사 보다 낮은 4.1%의 자산운용수익률을 기록해 체면을 구겼다.

삼성화재와 현대해상, 동부화재 등 손보업계 빅(Big)3의 자산운용수익률 역시 5%대 벽을 넘지 못했다.

금융권 관계자들은 초저금리 기조와 경기 불황의 여파로 보험사들이 만족스러운 자산 운용 성과를 올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보험업계 일각에서는 부동산, 채권, 주식 등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투자하기 보다는 차라리 은행에 자금을 예치해 이자를 받는 것이 낫다는 말까지 흘러나오고 있다.

보험사들은 최근 기준금리 마저 인하되면서 자산운용수익 보다 고객에게 지급해야할 이율이 높아지는 역마진을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다.

일부 보험사의 경우 은행, 증권사 창구를 활용한 즉시연금 판매 규모를 줄이고, 일시납 저축성보험의 방카슈랑스 판매를 중단하기도 했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국고채 금리가 기준금리를 밑돌고, 부동산과 주식가격 역시 폭락해 자산 운용처가 마땅치 않다”며 “투자수익률 보다 고객에게 돌려줘야 할 이자율이 높아지는 역마진 공포가 현실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