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영배 기자) 서울에서 추진 중인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 구역은 677곳이며, 이 중 절반 가까운 289곳(42.7%)이 조합설립추진위원회 승인단계에 그칠 정도로 사업 추진 속도가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울시가 정비사업의 투명성을 높이고 정보공개 확대를 위해 운영하고 있는 클린업 시스템에 공개된 정비사업 현황을 분석한 결과다.
20일 클린업 시스템에 따르면 677개 정비사업 구역 가운데 공사가 완료돼 준공 인가가 나온 사업장은 34곳으로 5.0%에 불과했다. 또 54곳(8.0%)이 관리처분 인가를 거쳐 공사에 들어갔으며, 5.3%인 36곳이 분양단계 이상인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추진위 승인단계가 289곳으로 전체의 42.7%를 차지했다. 또 조합설립 인가를 받은 곳은 171곳으로 25.3%였다. 677개 구역 가운데 67.9%인 460곳이 조합설립 인가를 받았거나 이전 단계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 조합설립 인가 후 완공시까지 5~6년이 소요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처럼 도시정비사업이 속도를 내지 못하면서 정비사업을 통한 신규주택 공급이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조합원간 갈등으로 인한 각종 소송이나 행정당국과의 마찰로 중간에 사업이 중단되는 사업장이 늘고 있어 심각성은 더 커지고 있다.
지역별로는 강남 11개구 257곳, 강북 14개구 420곳이었다. 사업방식별로는 주택재건축이 315곳(46.5%), 주택재개발 300곳(44.3%), 도시환경정비사업 62곳(9.2%)이었다.
강남 11개구는 재건축이 178곳(69.3%)으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강북 14개구는 재개발 233곳(55.5%), 재건축 137곳(32.6%), 도시정비사업 50곳(11.9%)이었다.
이는 강남권의 경우 1970년대 새롭게 도시개발이 진행되면서 도로 등 기반시설을 비교적 잘 갖췄지만, 강북은 도시 노후화로 기반시설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에서 진행되고 있는 정비사업은 86곳(12.7%)이며, 이 가운데 82곳이 재건축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강동구에서도 24곳에서 사업이 진행되고 있어 강남3구와 강동구를 포함한 강남권 정비사업장은 110곳으로 4개 구가 전체의 16.3%를 차지했다.
특히 강남3구는 추진위 승인단계가 44곳(51.2%), 조합설립 인가 59곳(68.6%)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업 추진 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구 가운데는 성북구가 71개 사업장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은평구(47), 동대문·서대문구(43), 영등포구(40) 순이었다. 강남구(36), 서초구(33), 동작구(30), 마포구(35)도 사업장이 30곳이 넘었다.
◆정비사업이란=통상 재개발·재건축으로 불리는 정비사업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서 정한 절차에 따라 도시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 정비구역 안에서 기반시설을 설치하고 주택 등 건축물을 개량하거나 짓는 사업을 말한다. 재건축과 재개발, 도시환경정비사업, 주거환경개선사업 등 4가지 방식이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