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제청, 오스템글로벌 송도 사옥 트리플타워 준공

  • '치과 의료기기 분야 글로벌 1위' 도약 전진기지 인프라 조성 완료

  • K-바이오랩허브 송도 네트워킹데이 개최…38개사 참석 및 핵심기술 전시

사진인천경제청
[사진=인천경제청]

인천경제자유구역청(청장 윤원석)은 지난 11일 오스템글로벌 주식회사(연수구 첨단대로 104)가 사옥 준공식을 개최했다.

준공식에는 윤원석 인천경제자유구역청장, 최규옥 오스템임플란트(주) 회장, 김해성 대표, 조민국 오스템글로벌(주) 대표 등 약 50여명이 참석했다.

오스템글로벌(주)은 오스템임플란트(주)와 일본 등 외국 치과정밀기기 연구개발사들이 투자한 기업이다. 2020년 10월 착공해 약 3000억원을 들여 대지면적 22693㎡에 연면적 99730㎡ 규모의 사옥을 완공했다.

오스템임플란트는 치과 임플란트 분야에서 국내 압도적 1위, 글로벌 매출 3위에 올라있는 글로벌 임플란트 산업의 선두주자이다. 본사는 2036년 매출 10조를 목표로 현재 운영중인 37개의 해외법인을 통해 치과기자재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오스템글로벌 사옥은 글로벌 치과산업을 선도할 연구개발(R&D) 중심 복합단지로 기획됐다. 이번 준공으로 제조동(EAST, 7층), 연구동(MID, 8층), 사무동(WEST, 16층)으로 구성된 트리플타워가 건립되어 ‘치과 의료기기 분야 글로벌 1위 도약’을 위한 전진기지 인프라가 조성됐다.

오스템글로벌 트리플타워 건물에는 임플란트 유니트체어, 엑스레이 디텍터(X-ray detector), 파노라마, 컴퓨터 단층촬영(CT) 등 치과 영상장비 제조·연구시설과 본사 일부 사업본부, 오스템글로벌 임직원들이 입주를 준비하고 있다. 오는 2030년까지 약 1450명의 고용 창출이 기대된다.

김해성 오스템임플란트 대표이사는 “글로벌 시장 확대와 디지털 덴티스트리(치과 진료·치료 전 과정 디지털화)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디지털 치의학 플랫폼 개발의 중심지로 더 큰 도약과 발전을 이루어 내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윤원석 인천경제청장은 “오스템임플란트는 1997년 설립 이후 단기간에 치과 의료기기 분야를 선도하고, 글로벌 3위로 올라서는 눈부신 성장을 이룩했다. 글로벌 기업들이 입주해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는 송도를 거점으로 성공 신화를 재현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K-바이오랩허브 송도 네트워킹데이 개최…38개사 참석 및 핵심기술 전시

인천경제자유구역청(청장 윤원석)은 14일 송도컨벤시아에서 K-바이오랩허브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스타트업들과 송도 입주기업들이 참석해 네트워킹 행사를 개최했다.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개최하는 네트워킹데이 행사는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입주기업 및 멤버십 기업 38개사의 핵심기술 전시가 열리는 가운데 오픈 네트워킹이 가능하도록 기획됐다.

윤원석 인천경제청장, 인천시의회 김유곤 산업경제위원장, 한인석 K-바이오랩허브 사업추진단장을 비롯해 바이오의약분야 스타트업과 송도 입주기업 및 유관기관 등 15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는 윤원석 인천경제청장의 환영사로 포문을 열었다. 뒤를 이어 삼성바이오에피스와 동아에스티의 오픈이노베이션 사례 발표를 통해 협업과 공동 프로젝트 발굴의 방향을 모색했다.

행사를 공동 개최한 K-바이오랩허브 사업추진단(이하 추진단)은 송도에 건립 예정인 K-바이오랩허브의 운영을 위해 설립된 조직이다. 추진단과 인천경제청은 K-바이오랩허브 구축 및 시범사업 운영, 혁신 스타트업 발굴·육성, 산·학·연·병 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 송도 바이오 클러스터 생태계 활성화 전반에 상호 협력하고 있다.

양 기관은 2028년 개소를 목표로 건립 중인 K-바이오랩허브의 본격 운영 전까지 시범사업을 운영 중이다. 인천경제청에서 의약바이오 스타트업의 입주공간과 실험공간(장비) 및 기업활동을 지원하고, 추진단에서 사업운영을 맡아 엑셀러레이팅 및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 등 기업성장을 지원한다. 

윤원석 인천경제청장은“대기업과 스타트업, 투자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실질적인 협업 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네트워킹데이 프로그램을 강화했다. 시범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통해 K-바이오랩허브가 송도 바이오 클러스터 생태계의 구심점 역할을 하고, 기존의 입주 산학연들과 협업의 시너지가 일어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