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과 한나라당 박희태 대표의 6일 청와대 회동의 주요 어젠다는 '당 쇄신'이다.
정례회동이라는 형식을 띠고 있지만 4.29 재보선 참패 및 당내 쇄신론 분출 속에서 열리는 만큼 이 대통령과 박 대표는 당의 쇄신과 단합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예상된다.
두 사람이 당 쇄신 내용을 일일이 논의하지는 않겠지만 당의 조기 안정과 재보선에서 확인된 민심에 부응해야 한다는 절박감 때문이라도 큰 가닥을 잡지 않겠느냐는 게 대체적 관측이다.
여권 관계자는 5일 "내일 회동이 끝나면 어느 정도 정리될 것이며 대략 정리가 돼가고 있다"고 말했다.
우선 이 대통령은 박 대표로부터 당 쇄신안을 보고 받고 쇄신 의지를 강조할 것으로 알려졌다. 구체적인 쇄신 폭과 내용은 앞으로 꾸려질 쇄신특위에서 논의케 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쇄신특위에서는 4.29 재보선 참패로 추락한 당의 리더십을 회복하고 이후 당·정·청 쇄신을 비롯해 집권여당의 체질 개선을 위한 제도적 대안을 모색할 가능성이 크다.
박 대표는 "내일 당장 쇄신을 위한 뾰족한 수가 나올 수 있는 게 아니다"며 "앞으로 여러 사람들이 참여한 가운데 다양한 쇄신방안을 연구해야 할 것"이라고 말한 점도 이를 뒷받침한다.
이번 회동에서는 또 주요 당직의 인선 문제가 논의될 개연성이 높다. 오는 21일 원내대표 경선이 예고돼있으며 이와 맞물려 당직 개편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당 대표 직할체제, 사실상 대통령 직할제제로의 개편으로 의견 수렴이 이뤄질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오는 10월 재보선,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차기 사무총장은 대통령과 당의 창구역할을 할 수 있는 사람이 돼야 한다는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지난 4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거론된 '당 대표의 정책위의장 지명'에 대한 협의 결과가 주목된다.
그동안 당 대표와 원내대표로 권한이 양분, 혼선이 계속돼온 만큼 원내대표 밑으로 인식돼온 정책위의장을 당 대표 직속으로 둠으로써 '정책 엇박자'라는 잡음을 최소화하자는 것이다.
이는 당 대표를 정점으로 정무적 기능은 사무총장에게, 정책적 기능은 정책위의장에게 맡기는 개편안으로 결과적으로 대통령의 당 직할체제를 강화하는 것으로도 해석된다.
동시에 이는 일정한 견제 속에 당내 단합을 꾀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친박(친박근혜)계 인사로 하여금 원내대표를 맡도록 해 대야(對野) 관계를 책임지는 동시에 최고위원회의에서 계파간 균형을 이루도록 하고 대신 '원내대표-정책위의장 러닝메이트제'를 폐지, 친이(친이명박)계 인사에게 정책위의장을 맡김으로써 '친박 주도'를 견제하는 동시에 당·정·청의 일체감을 높인다는 것이다.
이보람 기자 boram@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