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통행차단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와중에도 개성공단 가동업체 수가 100개를 돌파했다.
23일 통일부에 따르면 지난 2월말 기준으로 개성공단내 가동기업 수는 101개로, 작년 12월말(93개)에 비해 8개가 늘었다.
남북관계 악화에도 불구, 가동업체 수가 늘어난 것이 개성공단의 생명력을 보여주는 `희소식'으로 비칠 수도 있지만 속 사정은 좀 다르다고 공단 관계자들은 말한다.
올들어 새롭게 가동에 들어간 8개 업체는 공장 건설이 완료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생산활동을 시작한 회사들이며, 분양받은 업체 중 신규로 공장을 짓는 업체는 남북관계가 본격적으로 악화된 작년 말 이후 거의 없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또 남북관계 악화로 공단 사업의 불확실성이 높아진 지금 분양을 받은 업체중 상당수가 입주를 미루고 있으며 중도금 미납 등 이유로 분양 계약을 취소한 업체도 7~8개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나마 공장 건설에 착수하지 않은 업체들은 입주를 미루거나 상황에 따라 일정한 손실을 감수하고라도 입주를 포기하면 되지만 현재 공장을 짓고 있는 33개 업체의 입장이 가장 애매한 상황이다.
이들은 북측의 통행차단 등 공단에 악영향을 주는 조치가 재발할 가능성 외에도 북측 근로자 숙소 건설 문제가 진척을 보지 못함에 따라 공장을 짓더라도 근로자를 원하는 만큼 공급받을지 확신할 수 없다는 점 등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남성인력이 상당수 투입되면서 올해 1월말 기준 공단내 북측 근로자 수가 3만8천594명으로 파악되는 등 근로자 공급이 꾸준히 이뤄지고는 있지만 기숙사가 지어지지 않는 한 머지 않은 시간 안에 개성 및 주변지역의 가용인력이 고갈될 것으로 개성공단 관계자들은 보고 있다.
사업 전망이 이처럼 불투명하지만 공장을 짓고 있는 업체들로선 투입한 건설비용과 이미 받아놓은 주문량 등을 감안할때 발을 빼기도 어려운 형편이다.
개성공단 기업협의회 관계자는 "현재 공장을 짓고 있는 업체들은 통행도 통행이지만 근로자 공급 문제를 가장 걱정하고 있다"며 "남북관계가 속히 정상화돼 근로자 숙소 건설이 되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