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이 24일 발표한 '3개월 전망'에 따르면 12월 기온이 평년(0.5∼1.7도)과 비슷할 확률이 50%, 평년보다 높을 확률이 30%라고 예측됐다.
내년 1월은 평년(-1.5∼-0.3도)과 비슷할 확률이 50%, 높을 확률이 30%다. 내년 2월은 평년(0.6∼1.8도)과 비슷할 확률과 높을 확률이 각각 40%였다.
겨울철 기온에 영향을 주는 스칸디나비아 주변 해수 온도가 높고 티베트 눈 덮임이 적게 관측돼 우리나라에 맑은 날씨를 가져오는 고기압성 순환이 강화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라니냐는 태평양 감시구역 내 3개월 이동평균 해수면 온도 편차가 영하 0.5도 이하인 기간이 5개월 이상 지속되는 것을 뜻한다.
강수량은 12월에 평년보다 적을 것으로 전망됐다. 북극해 해빙이 적은 영향으로 차고 건조한 공기가 유입되기 때문이다.
1월은 평년과 비슷하고, 2월에는 평년보다 많이 내리겠다. 겨울 동안 기상학적 가뭄 발생은 적을 것으로 예측됐다. 지난 9월과 10월 전국적으로 많은 비가 내린 영향이다.
올겨울 우리나라 주변 해역 해수면 온도는 평년보다 대체로 높을 전망이다. 북태평양에서 평년보다 높은 해수면 온도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남해는 12월, 동해는 12∼1월 평년보다 높은 해수면 온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