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종합투자계좌(IMA)·발행어음 신규 사업자들에게 '무늬만 모험자본 투자'가 아닌 '실질적인 모험자본 공급'을 당부했다.
금감원은 20일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키움증권 등 3사 대표와 IMA·발행어음 취급 단계별 C레벨 임원들을 대상으로 간담회를 열었다.
모험자본 공급의 충실한 이행, 건전성 관리 강화, 예방 중심의 투자자보호 체계 정착 등 대형 투자은행(IB)으로서 책임 있는 역할 수행을 당부했다.
서재완 금감원 금융투자 부원장보는 "부동산 중심 비생산적 유동성을 생산적 분야로 전환하는 정부 정책 하에서 종투사 조달 기능(IMA‧발행어음) 부여, 모험자본 공급 의무화, 종투사 지정 확대가 추진되고 있다"며 "종투사가 생산적 금융을 이끄는 핵심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운용담당 임원에게는 기업 생애주기별 맞춤형 자금 공급, 위험군별 균형 있는 포트폴리오 구축을 통해 미래 성장산업 발굴에 기여해 줄 것을 당부했다.
서 부원장보는 "모험자본 공급은 단순한 정책 대응이 아니라 금융투자 회사 '본연의 역할'"이라며 "의무비율 충족을 위한 '무늬만 모험자본 투자'가 아닌 '실질적인 모험자본 공급' 기능을 충실히 수행해 줄 것"을 요청했다.
선제적이고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도 당부했다. 그는 "IMA‧발행어음 등 단기 조달 중심 유동성 구조의 취약성을 감안해 만기구조, 자금 흐름 모니터링 등 유동성 관리를 상시 체계로 정착시킬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2022년 하반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처럼 특정 자산군 쏠림이 업권 전체의 유동성 리스크로 확대될 수 있는 만큼 IMA·발행어음이 자본시장 불안 요인이 되지 않도록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했다.
금감원은 새롭게 출시될 IMA 상품에 대해 업계와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해 설계·제조 단계부터 잠재적 문제를 면밀히 점검하고, 투자설명서·약관·운용보고서 등을 투자자 눈높이에 맞게 정비해 나갈 계획이다.
서 부원장보는 "투자자 눈높이에 맞춰 상품 설계·판매·사후관리 등 전 과정에서 불완전판매 요인을 사전에 통제해 완전판매 절차를 구축해야 한다"며 "불완전판매 발생 시 성과급 환수 등 책임 있는 조치가 작동되도록 성과보상 체계도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이날 업계 참석자들은 종투사로서의 역할과 책임을 인식하고 있으며 전사 차원의 모험자본 공급 확대 계획을 충실히 이행하겠다고 했다. 국민성장펀드를 통한 모험자본 공급에도 적극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모험자본 공급, 건전성 관리, 투자자보호 체계 전반에 대한 상시 점검 및 모니터링을 지속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며 "업계와 소통을 확대하고 모험자본 공급 관련 제도 개선 수요를 적극 발굴해 금융위와 함께 제도적 지원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