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세였던 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이 2013년부터 5년마다 1년씩 늦춰져 2033년 65세가 된다. 현재 정년은 60세. 정년과 연금 수령 시점 간 격차로 최대 5년이라는 소득 공백 기간이 발생한다. 65세 정년 연장론이 힘을 받는 이유다.
재계는 인건비 부담과 청년 고용 감소 우려 등 논리로 난색을 표한다. 굳이 정년을 연장하겠다면 퇴직 후 재고용과 같은 보완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60세 이후 일을 더 하고 싶은 근로자는 고용 방식이나 임금 조건을 다시 정하는 식으로 기업 부담을 덜어줘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국회에 발의된 정년 연장 관련 법안 대다수가 법정 정년을 65세로 못 박고 있다. 퇴직 후 재고용 등 고용주에게 선택지를 부여하는 법안은 1건뿐이다. 이재명 정부나 더불어민주당이 마음만 먹으면 65세 정년 연장이 급물살을 탈 수 있는 상황이다.
평균 53세 정도면 다니던 직장을 나오는데 연금 수급 개시 연령은 65세다. 소득 절벽 구간은 노조 측 주장대로 '5년'이 아니라 '12'년인 셈이다. 그래서 퇴직한 고령층 가운데 1000만명 이상이 생계 유지를 위해 저임금 근로에 나서거나 현재 구직 활동 중이다.
고용노동부 통계를 보면 2023년 대기업 평균 퇴사율은 16.1%다. 평균 연봉 1억원에 성과급으로 1억원을 더 받게 된 SK하이닉스 직원들의 자발적 이직률은 지난해 기준 0.9%다. 작금의 정년 연장 논의는 정년을 채우고 퇴직할 가능성이 높은 16~17% 안팎 근로자를 위한 밥상에 불과하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30인 이상 중소기업 중 86.2%가 정년 연장 대신 선별 재고용 방식이 바람직하다고 답했다. 인건비 부담 때문에 정년 연장을 수용하기 어렵다는 응답이 41.4%에 달했다.
결국 노동시장을 안정화하고 고용 기간을 늘리기 위한 핵심은 법정 정년 연장이 아니라 양질의 일자리를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이 창출하는 것이다.
청년들도 정년 연장을 환영한다는 일각의 의견이 있다. 한 직장인 전문 플랫폼에서 설문조사를 하니 전체 응답자 중 정년 연장 필요성에 공감하는 비율이 20대는 67.9%, 30대는 70.4%로 나왔다.
정년 연장을 원하는 가장 큰 이유는 '노후 생활 안정'(39%)과 '소득 공백 해소'(17.8%)였다. 현재의 삶이 팍팍하고 미래도 불투명한 탓에 정년에 기대 소득 안정성이라도 확보하겠다는 바람인데, 앞서 언급한 정년 퇴직 비율을 애써 외면한 발상이다.
삼성, SK, 현대차, LG 등 대기업 팔 비틀기에만 매달린다면 5년이든 12년이든 소득 절벽 완화는 요원한 일이다. 기업가 정신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는 토양 조성, 기업의 단계적 도약을 위한 성장 사다리 마련, 고령 빈곤층 대상의 사회안전망 구축 등 측면에서 이재명 정부는 얼마나 준비돼 있는가.
아직 청사진 완성 전이라면 고용지원금, 조세·사회보험료 지원 등 영세·중소기업들이 고용 확대에 필요하다고 호소하는 정책 수단까지 함께 넣어 그려 주길 바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