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금(金) 거래에 대한 세제 혜택을 부분적으로 없애기로 하면서 세계 최대 금 시장 중 하나인 중국의 금 수요가 단기적으로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중국은 세계 최대 금 소비국이자 수입국이다.
중국 재정부와 국가세무총국은 1일 금 거래에 대한 증치세 부과 정책을 발표해 이날부터 상하이 금거래소나 상하이 선물거래소를 통해 금을 매입한 일부 소매업체가 이를 직접 판매하거나 혹은 가공 후 판매할 때 증치세(13%)를 공제받을 수 없다고 밝혔다.
이는 앞으로 소매업체가 금을 판매할 경우 더 이상 증치세를 환급받을 수 없다는 뜻이다. 증치세는 우리나라 부가가치세 해당한다.
단, 상하이 금거래소·상하이 선물거래소 산하 회원사가 투자용 금을 거래할 경우에는 기존과 마찬가지로 증치세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투자용 금에는 순금 함량 99.5% 이상의 금괴,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발행한 법정 금화 등이 포함된다. 단, 회원사라도 비투자용 금을 거래할 경우에는 증치세 13% 중 6%만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번 정책은 이달 1일부터 오는 2027년 12월 31일까지 한시적으로 시행된다.
이번 조치는 중국 정부가 금 투기 수요를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부동산 경기 침체 등으로 재정이 어려운 정부로서는 세수를 늘리는 효과도 낼 수 있다.
하지만 일부 금 소매업체의 세제 부담이 커지면 그 부담이 소비자 가격에 전가될 가능성이 큰 만큼 금 구매 비용이 올라가 단기적으로는 중국 소비자의 금 수요가 둔화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블룸버그는 중국의 세제 개혁으로 금 매수세가 약세를 보이며 3일 아시아 시장에서 금값이 최대 1%까지 하락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이날 홍콩증시에 상장된 저우다푸, 저우성성, 라오푸황금 등 주요 귀금속 관련 종목 주가도 일제히 급락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