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박업협회(KGA)가 최근 시장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과 함께 공유숙박 운영자 및 예비 창업자 400여 명을 대상으로 ‘외국인관광도시민박업(이하 외도민업)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다수가 제도적 요건으로 인해 시장 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조사 결과, 서울 내 외도민업 숙소는 마포·강남·용산 등 외국인 관광객 밀집 지역에 집중돼 있으며, 대부분 한 채의 숙소를 직접 운영하는 영세 자영업자였다. 이들은 외국인 방문객의 첫 관문이자 ‘민간 외교관’으로서 한국 문화를 알리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하지만 신고 과정에서는 △지자체별 상이한 기준(90%) △주민동의 확보(60%) △실거주 요건(55%) 등이 주요 애로사항으로 꼽혔다.
한 운영자는 “이웃 동의를 받지 못해 창업을 포기했다”며 “자신의 재산을 활용해 영업하려는 기본 권리조차 막히는 구조”라고 토로했다. 또 다른 운영자는 “외국인 손님은 오히려 호스트가 함께 거주하는 것을 불편해한다”며 실거주 의무의 현실성을 지적했다.
상인들은 “홍콩 가족 여행객이 3일 내내 찾아왔다”, “외국인 손님이 일주일 동안 매일 방문했다”며 공유숙박 체류객이 단골처럼 소비를 이어간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외국인 손님 비중이 절반을 넘은 명동·홍대 일대에서는 커피, K팝, 로컬 체험 등 ‘K-컬처 소비’가 매출 증가로 직결됐다. 응답자의 80%는 “공유숙박이 감소하면 매출이 함께 줄 것”이라고 우려했다. 외식업·소상공 업종은 10~50% 수준의 매출 하락이 예상된다는 분석도 나왔다.
이와 관련, 채보영 한국민박업협회 회장은 “공유숙박은 외래 관광객의 ‘환영 창구’이자 지역경제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 잡았다”며 “3천만 관광객 시대를 대비해 실거주와 주민동의 요건의 합리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