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 본부장은 이날 한국의 신남방정책 계승·발전 의지를 언급한 뒤 미래 경제협력 파트너로서 방글라데시와의 경제협력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 한·방글라데시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 협상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추진 방향을 논의했다.
특히 여 본부장은 "양국이 방글라데시의 최빈개도국(LDC) 졸업 이전 CEPA 협상을 타결하기로 합의한 만큼 조속히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하기를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이와 함께 젊은 인구, 지리적 이점, 풍부한 자원을 가진 방글라데시와 첨단 제조업과 기술 역량을 보유한 한국이 상호보완적인 산업 구조를 갖추고 있다는 점에 뜻을 같이했다. 또 향후 제조, 인프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의 폭을 넓혀 양국 관계를 보다 건설적이고 생산적인 방향으로 발전시키자고 의견을 모았다.
산업부 "방글라데시를 포함한 서남아 지역을 글로벌 사우스 핵심 경협 파트너로 삼을 것"이라며 "CEPA 협상 진전과 함께 교역·투자 및 산업 협력 확대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지속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