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캄보디아 구금 사태 해결을 위해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파견된 '재외국민안전대책단' 단장을 맡은 김병주 최고위원은 구출에 성공한 청년들과 관련해 "가해자이자 피해자"라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양국이 합동 수사 태스크포스(TF)를 만들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김 최고위원은 20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KBS 라디오 '전격시사' 등에 출연해 "국가의 최고 책무는 위험에 빠진 국민의 생명을 일단 구하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구조된 한 청년에 대한 현지 교민의 '피해자가 아니라 용의자에 가까운 사람'이라는 주장에 대해 "그러면 대한민국 국민을 구출하는 것"이라며 "물론 수사를 해보면 피해자이면서 가해자일 거라고 본다. 구출 후 송환해 법적 처벌을 주고 처벌이 끝나면 정상적인 생활을 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국가와 정치의 역할"이라고 답변했다.
그러면서 "한인회하고 정보 교류를 많이 했지만 급박한 상황에서 제가 정보를 주지 않았다"며 "(정보 공유가) 잘 안되다 보니 서운하셨을 수도 있고 왜곡된 정보도 있었다"고 덧붙였다.
또 김 최고위원은 "이재명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많이 진척된 상황"이라며 "합동 수사 TF를 만들기로 양국이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우리 경찰관을 캄보디아 경찰에 파견해 공동 수사하는 것"이라며 "대책단이 캄보디아 상원의원을 만났을 때 단순 파견이 아닌 한국 경찰관에게 한국인에 대한 수사권을 요구했다. 이런 상황들이 진척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부연했다.
아울러 김 최고위원은 당내에서 일부 의원들을 중심으로 제기되는 군사적 조치·공적개발원조 중단 등에 대해 "당이나 정부의 입장은 아닌 개인적인 의견"이라고 일축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