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이준호 부산시의원 "산업은행은 고래, 투자공사는 조삼모사"

  • 정부 '동남권 투자공사' 추진에 부산 정가 반발

  • 이준호 "공약 격하이자 시민 기만...꼼수 정치 중단해야"

사진박연진 기자
[사진=박연진 기자]

한국산업은행의 부산 이전이 사실상 표류하는 가운데 정부가 대체 구상으로 ‘동남권 투자은행’ 대신 ‘동남권 투자공사’ 설립을 추진하자 부산 정치권의 반발이 거세다. 

부산시의회 이준호 의원은 16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부산 시민에게 떡은 빼앗고 떡고물만 포장해 주는 격”이라며 “선거를 앞두고 간판만 바꿔 단 조삼모사식 꼼수 정치”라고 직격했다.

이 의원은 산업은행 부산 이전이 지역 금융허브 전략의 핵심 축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산업은행은 국가 전략투자를 집행해 온 정책금융의 핵심으로, 대형 기업과 금융 네트워크를 동반 이전시킬 수 있는 기관”이라며 “산은이 부산으로 오면 금융 생태계의 질이 완전히 달라진다”고 말했다.

이어 “공사 체제는 자금 조달 능력과 레버리지에서 은행과 비교할 수 없다. 공공기관 하나 더 만든다고 도시의 체급이 오르지 않으며, 오히려 시민 부담만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치적 계산이 깔려 있다는 비판도 제기했다. 그는 “산업은행 이전은 법만 고치면 될 일인데 다수당의 정치적 셈법으로 발목을 잡아 놓고, 이제 와서 연말이나 내년 초 동남권 투자공사를 만들겠다고 한다”며 “은행은 선거 이후에나 가능하고 공사는 금세 만들 수 있으니 6월 지방선거를 겨냥해 ‘성과 쇼’를 하려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중앙 정치권의 입장 변화에 대해서도 “부산의 미래를 말하던 사람들이 정권이 바뀌자 말을 바꿨다. 부산에 대한 진정성이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해법으로는 산업은행법 개정의 재추진과 지역 공동대응을 제시했다.

이 의원은 “부산이 원하는 것은 ‘공사 숫자’가 아니라 ‘금융 허브의 실질’”이라며 “부울경이 함께 국회를 압박하고, 산은 이전을 전제로 세제·입지·인력 패키지를 미리 설계해 ‘오자마자 실행’할 로드맵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산 보수 정치권과 시민사회는 정부의 ‘동남권 투자공사’ 구상에 대해 “산업은행 이전의 대체재가 될 수 없다”며 반대 여론을 이어가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