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00 안착 못한 코스피…시총 3000조 기록은 세웠다

코스피 지수
코스피 지수

코스피가 3600선 안착에 또다시 실패했다. 장중 3646까지 올랐으나 끝내 3560대에서 장을 마감했다. 반도체주 차익 실현 매물이 쏟아져나왔고, 중국 정부의 국내 조선업체 미국 자회사 제재 여파로 조선주가 급락한 여파다. 다만 코스피는 14일 장중 시가총액 합계가 3000조원을 돌파하는 등 신기록을 썼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22.74포인트(0.63%) 빠진 3561.81로 거래를 마쳤다. 코스피 지수는 전장 대비 0.55% 오른 3604.12로 출발해 장중 3646.77까지 오르며 사상 최고 기록을 새로 썼지만 차익 실현 매물이 쏟아지며 하락 마감했다.

이날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5023억원, 3913억원을 순매수했다. 기관은 9502억원을 순매도했다. 장 초반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2658억원, 87억원 순매수했으며 기관은 2821억원 순매도세를 보였다. 장중 기관이 강한 매도세를 보이면서 지수 낙폭이 확대됐다.

주요 종목별로는 삼성전자가 9만16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1.82% 하락했고, SK하이닉스도 0.84% 하락한 41만1500원으로 마감했다. 조선주들은 중국의 제재 소식이 전해지면서 낙폭이 컸다. 한화오션은 10만3100원(-5.76%), HD현대중공업은 49만6000원(-4.06%), 삼성중공업은 2만1200원(-4.72%)으로 주가가 빠졌다. 

증권가에서는 이번 조정의 주요 원인으로 삼성전자 실적 발표 이후 반도체주 차익실현이 나타났다는 점, 10월 이후 지속된 지수 랠리로 단기 피로도가 누적된 점을 들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중국 상무부의 한화오션 미국 계열사 제제 발표로 미·중 무역 갈등 우려가 재점화되고 나스닥 선물과 닛케이 지수 낙폭이 확대된 점 등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3600 고지 사수는 불발됐지만 이날 코스피는 장중 시가총액(합계) 3000조원을 찍었다. 이날 오전 9시 30분 기준 코스피 시총은 3001조9540억원을 기록했다. 1956년 3월 주식시장 개장 이후 69년 만에 처음으로 3000조원을 넘어선 것이다. 지난해 말과 비교하면 코스피 시총은 10개월 새 1000조원가량 불어났다. 다만 이날 지수 하락으로 장 마감 이후 시가총액은 3000조원 아래로 밀려났다. 정규장 기준 코스피 시총은 2933조878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와 관련해 국내 증시 전체 시가총액은 지난 7월 10일 사상 처음으로 3000조원을 넘어선 바 있다. 당시 코스피가 2603조7392억원, 코스닥과 코넥스가 각각 413조8598억원, 3조1704억원을 기록하며 합산 기준으로 3000조원을 돌파했다. 이번에는 코스피 단독으로 3000조원을 찍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증권가에서는 코스피 시총 3000조원 시대가 조만간 안착될 것으로 전망한다. KB증권은 올해 4분기 코스피 전망 밴드를 3200~3800, 유안타증권은 기존 3100~3500에서 3350~3750으로 상향 조정했다. 노근창 현대차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이날 한국거래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주가 상승 속도가 빠른 점은 부담이지만 반도체 기업의 실적 성장세는 2028년까지 이어질 것"이라며 "코스피 레벨업은 반도체주가 주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