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항생제 사용량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상위권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질병관리청과 최근 발표된 OECD 보건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의 항생제 사용량은 인구 1000명당 하루 31.8 DID(DDD/1000 inhabitants/day)로 집계됐다. 이는 자료가 공개된 OECD 회원국 중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2022년 25.7 DID로 OECD 평균(18.9 DID) 대비 1.36배를 기록하며 상위 네 번째를 기록했지만 상황이 더욱 심각해진 것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19년 항생제 내성을 인류 생명을 위협하는 10대 요인으로 지목한 바 있다. 내성균에 감염되면 치료가 어려워지고 이는 입원 기간 증가, 치료 비용 상승, 심하면 사망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면역력이 약한 노인과 어린이에게는 치명적이다.
질병관리청은 2024년 11월부터 '항생제 적정 사용 관리(ASP)'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ASP는 병원 내에 전문 인력을 두고 항생제 처방이 꼭 필요할 때에만, 최적의 약품으로, 정확한 용량과 기간을 지켜 사용되도록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제도다.
시범사업 효과는 현장에서 이미 나타나고 있다. 질병관리청 의뢰로 한양대 산학협력단이 수행한 실태조사 결과 참여 병원 모두(100%)가 특정 항생제 처방을 관리하는 '제한항생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반면 미참여 병원은 그 비율이 56.6%에 그쳤다.
다만 '전문 인력 부족'은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힌다. 300병상 이상인 의료기관 중 절반 이상(53.6%)은 인력이 없어 사업에 참여하지 못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조만간 2차 연도 시범사업 참여 기관 공모에 나설 계획이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항생제의 올바른 사용은 감염에 민감한 노인과 어린이의 생명을 지키는 일"이라며 "ASP가 의료 문화로 정착하고 중소·요양병원까지 확산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