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또 다시 불신임 위기에 놓였다. 새 내각 구성 과정에서 기존 인사들을 대거 재기용해 야권의 거센 반발을 사고 있다.
5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마크롱 대통령이 새로 임명한 18명의 장관 중 3분의 2는 전임 프랑수아 바이루 총리 내각 출신이다. 나머지 신임 장관들도 대부분 마크롱 정부에서 요직을 맡았던 인물들로 채워졌다.
신임 재무장관으로 임명된 롤랑 레스퀴르 전 산업부 장관은 2017년 마크롱 대통령의 집권 여당 '전진하는 공화국' 소속 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했다.
재무부 산하 아멜리 드몽샬랭 예산 담당 장관은 자리를 지켰고, 우파공화당 대표 브뤼노 르타이오가 내무부 장관으로 복귀했다. 마크롱 대통령의 연금개혁을 주도했던 엘리자베트 보른 전 총리도 교육부 장관에 유임됐다.
임기 초 재무장관으로 7년간 재직하며 마크롱 대통령의 핵심 정책을 뒷받침했던 브뤼노 르메르는 국방부 장관으로 복귀했다.
전임 총리가 의회 불신임으로 물러난 뒤 지난달 임명된 세바스티앙 르코르뉘 총리는 "이전 정부와의 단절"을 약속했지만, 새 내각은 이름만 바뀐 '구(舊)정부'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이는 마크롱 대통령의 중도 노선과 정책 기조가 계속 유지될 것임을 보여주는 신호라고 블룸버그는 분석했다.
야권은 르코르뉘 총리의 의회 연설이 예정된 오는 7일 불신임안을 표결에 부치겠다고 경고했다. 의회 내 캐스팅보트 역할을 해온 사회당 역시 르코르뉘 총리가 명확한 방향 전환을 제시하지 않을 경우 불신임안에 찬성할 수 있다고 밝혔다.
최근 프랑스에서는 정부의 긴축 재정 기조를 둘러싼 시민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잇단 시위와 정치적 갈등으로 정책 추진력이 약화되면서 국가 재정 건전성과 정치 안정성 모두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