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유엔총회장서 팔레스타인 국가 공식 승인

  • 마크롱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이 나란히 살아가도록 모든 노력 다해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 본부에서 열린 팔레스타인 문제의 평화적 해결과 두 국가 해법 이행을 위한 고위급 회의에서 연설하고 있다 사진EPA연합뉴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 본부에서 열린 팔레스타인 문제의 평화적 해결과 두 국가 해법 이행을 위한 고위급 회의에서 연설하고 있다. [사진=EPA·연합뉴스]

세계 각국 정상들이 모이는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를 하루 앞두고 프랑스가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 승인했다.
 
22일(현지시간) AP통신 등에 따르면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이날 미국 뉴욕 유엔총회장에서 팔레스타인 두 국가 해법을 논의하는 고위급 회의를 주재하면서 “중동에 대한 우리나라의 역사적 약속, 그리고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 평화에 대한 약속에 충실하기에, 오늘 프랑스가 팔레스타인 국가를 승인한다고 선언한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팔레스타인 문제의 평화적 해결과 두 국가 해법 이행을 논의하기 위해 프랑스와 사우디아라비아가 공동 주최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우리는 두 국가 해법의 가능성 자체를 보존하기 위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평화와 안정 속에서 나란히 살아가게 하기 위해 힘닿는 대로 모든 것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마크롱 대통령은 유엔총회장에서 열리는 정상회의를 주재하면서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을 발표한다는 방침을 밝혀왔다.
 
마무드 아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 수반은 화상 연설을 통해 가자전쟁 휴전 후 1년 이내 개혁과 선거 실시를 약속하면서 “팔레스타인이 유엔의 정식 회원국이 되도록 지지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앞서 미국 국무부는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에 참석하려던 PA 관계자 80명에 대해 비자 발급을 거부하거나 취소한 바 있다.
 
각국의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 흐름은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전날 캐나다, 호주, 영국, 포르투갈이 국가 승인을 선언했고, 22일 오전에는 벨기에, 룩셈부르크, 몰타 등도 합류했다. 
 
이에 따라 주요 20개국(G20) 가운데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은 국가는 미국,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등 5개국만 남았다. 한국은 지난해 4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팔레스타인의 유엔 정회원국 가입 표결에 찬성한 데 이어, 지난 12일 유엔총회가 두 국가 해법을 지지하는 결의를 채택했을 때도 찬성표를 던졌다. 그러나 국가 승인 문제에서는 여전히 유보적인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 이스라엘과 미국은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 움직임이 오히려 문제 해결을 지연시킬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대니 다논 주유엔 이스라엘 대사는 이날 회의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팔레스타인의 국가 승인에 대해 “이는 외교가 아니며 보여주기식 공연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서방국의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 결정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점을 매우 명확히 밝혀왔다”며 “솔직히 말해서 트럼프 대통령은 그것이 하마스에 대한 보상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도 지난주 이스라엘을 방문한 뒤 회견에서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움직임에 대해 “대체로 상징적인 일”이라고 평가하며 “팔레스타인 국가가 가까워지는 것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