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달간 서울아파트 전세계약 30% 감소...6·27대책 여파

6·27 대출 규제 여파로 아파트 전세의 월세화가 빨라질 거라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서울 아파트 월세 수요가 3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규제 이후 강남에서는 아파트 전세보다 월세 물건이 더 많아졌다 사진연합뉴스
6·27 대출 규제 여파로 아파트 전세의 월세화가 빨라질 거라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서울 아파트 월세 수요가 3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규제 이후 강남에서는 아파트 전세보다 월세 물건이 더 많아졌다. [사진=연합뉴스]

6·27 대책 시행 이후 서울 아파트 전세 신규 계약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과 규제지역의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한 여파로 풀이된다.

2일 부동산 중개·분석업체 집토스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7월과 8월 서울 아파트 신규 전세 계약은 1만2108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 계약 건수(1만7396건) 대비 30.4% 감소했다.

6·27 대책이 전세를 낀 '갭 투자' 매매를 위축시키자 그 여파가 전세 시장의 공급 부족으로 이어지며 '전세 절벽'이 현실화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전세 매물 급감으로 기존 세입자들은 이주를 포기하고 현재 주거지에 머무르는 경향이 뚜렷해졌다. 지난 7∼8월 서울 아파트 갱신 요구권 사용 계약은 5834건으로, 작년 동기 갱신 요구권 사용 계약 건수(2185건)의 2.7배로 폭증했다.

집토스 관계자는 "전세 매물 품귀로 임대인 우위 시장이 형성되자 임차인들이 법적으로 보장된 권리를 총동원해 기존 주거지에 머무르려는 현상이 심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전세 매물이 줄어든 데다 신규 계약 시 전세 보증금은 늘어나면서 새로운 세입자는 전세 시장에 진입하기 힘들어지고 있다. 같은 기간 서울에서 새로 집을 구한 신규 전세 계약은 1만7396건에서 1만2108건으로 30.4% 급감했다.

집토스가 지난 7∼8월 서울 동일 아파트·면적에서 신규 계약과 갱신 계약이 모두 있었던 단지들을 대상으로 가격을 비교한 결과, 신규 계약의 전세금(6억3716만)이 갱신 계약 전세금(5억8980만원)보다 평균 8.7%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신규 계약 전세금이 갱신 계약 전세금보다 4.5% 높은 수준이었다. 1년 만에 서울 전세 시장에서 신규 진입자가 감당해야 하는 부담이 두 배 가까이 커진 셈이다.

전세 수요가 월세 시장으로 이동하는 '풍선 효과'도 관측됐다. 지난 7∼8월 서울 아파트 월세 계약은 1만7184건으로, 작년 동기 월세 계약(1만6282건) 대비 5.5% 증가했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6·27 대책이 갭 투자를 위축시킨 효과가 전세 시장의 공급 부족과 신규 세입자의 주거비 부담 증가라는 심각한 부작용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전세 시장 안정을 위한 별도의 공급 대책이 동반되지 않는다면 시장 불안은 당분간 지속할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