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필요" 41%로 전년比 4.2%p 상승…20대는 절반 이상 '불필요' 응답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국민 10명 중 4명은 여전히 통일이 필요하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20대에서는 ‘통일 불필요’ 응답이 절반을 넘어서며 세대 간 인식 격차가 확인됐다.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은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 7월 21일부터 8월 17일까지 전국 19세 이상 성인 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5 통일의식조사’ 결과를 30일 공개했다.

조사에 따르면 ‘통일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41.1%로 지난해(36.9%)보다 4.2%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30.4%로 작년(35.0%)보다 4.6%포인트 줄었다.

연령별로는 20대에서 다른 흐름이 나타났다. ‘통일 불필요’가 50.7%로 집계되며 2007년 조사 시작 이래 처음으로 절반을 넘어섰다.

통일 방식에 대해서는 ‘여건이 성숙하기를 기다려 점진적으로 통일하는 것이 좋다’는 응답이 47.4%로 가장 많았다. ‘현재대로가 좋다’는 응답도 30.6%를 기록했다. 

통일 시기를 두고는 ‘불가능하다’(35.6%), ‘30년 이상’(28.6%) 순이었다.

대북 인식에서는 협력(34.0%)·적대(18.9%) 의식이 줄고 지원(17.8%)·경계(22.9%) 의식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으로 인한 안보 불안은 56.5%로 2018년(56.3%) 수준까지 낮아졌다. 그러나 ‘북한이 핵을 포기하지 않을 것’(89.7%), ‘북한 인권 상황이 심각하다’(82.5%)는 인식은 여전히 높았다

대북 정책 방향에 대해선 63.1%가 ‘평화 정착 우선’을 꼽았고, 52.0%는 이재명 정부 대북 정책에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주변국 친밀도는 미국(76.3%)이 여전히 1위였지만 2년 연속 하락세였다. 일본(11.4%), 중국(2.1%), 러시아(0.1%)가 뒤를 이었다. 위협도는 북한(42.1%), 중국(31.0%), 러시아(11.1%), 일본(10.3%), 미국(5.5%)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북한의 통일폐기정책과 이재명 정부의 남북대화 및 평화공존 정책이 어떤 변화를 만들어내느냐에 따라 향후 통일의식이 영향받을 것"이라며 "특별한 관계 개선 없이는 세대, 지역, 이념 변수 분화가 더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번 조사는 1대1 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8%포인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