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금융그룹이 2030년까지 총 80조원을 투입해 생산적 금융 전환과 포용금융 확대에 나선다. 정부가 추진하는 국민성장펀드에 민간에서는 처음으로 10조원 참여 계획을 발표하는 등 경제회복을 위한 민관 협력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은 29일 서울 중구 본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생산적 금융 73조원, 포용금융 7조원 등 총 80조원의 지원을 통해 금융 역할의 대전환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임 회장은 "현재는 저성장 국면을 극복하고 새로운 시대를 향해 전환기를 만들어야 하는 시점"이라며 "첨단전략산업 육성 등 생산적 금융 전환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우리금융이 추진하는 73조원 규모의 생산적 금융은 △국민성장펀드 참여 10조원 △그룹자체투자 7조원 △융자 56조원으로 구성됐다. 이 중 국민성장펀드 10조원은 지난달 10일 이재명 대통령이 국민보고대회에서 국민성장펀드 150조원을 제시한 이후 민간 첫 추진 사례다. 민간·국민기금 75조원의 13%에 달하는 규모다.
그룹 자체투자는 △그룹 공동투자펀드 1조원 △증권 중심 모험자본 투자 1조원 △자산운용 계열사의 생산적 금융 펀드 5조원 등 3가지 방안으로 추진된다. 그룹 공동투자펀드는 은행·증권·보험·카드·캐피털 등 자회사가 조성한 금액을 우리자산운용 등 자산운용 자회사가 운용주체로 나선다.
아울러 포용금융 추진을 위해 서민금융대출 등 상생금융 확대에 7조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480억원 규모의 보증 대출 등 소상공인 금융지원, 1000억원 규모의 배드뱅크 지원 등 정부 연계사업에도 나선다.
이를 통해 우리금융은 매년 11만명씩 5년간 총 55만명의 소상공인, 취약계층에게 금융 지원을 할 계획이다. 신용등급 7등급 이하의 저신용 신규고객에게는 0.3%포인트의 금리인하를 새로 적용하고, 기존 성실상환고객 중 신용등급 4~7등급에게는 0.4%포인트, 8등급 이하에게는 1.5%포인트 금리인하 등을 통해 금융비용 경감에 나선다.
그는 "17조원의 투자는 지난 5년간 우리금융이 실행했던 투자실적의 2배 규모에 해당하는 것"이라며 "향후 투자중심 구조로의 전환이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56조원이 투입되는 융자에 대해서는 "지난 5년간 4% 수준이던 기업대출 성장률을 향후 10%까지 높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우리금융은 이 수치를 바탕으로 기업대출 비중을 현재 50%에서 60%까지 확대하고 가계대출, 주담대 중심의 영업구조를 첨단전략산업 중심의 기업금융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임 회장은 "미래동반성장 프로젝트는 △기업금융 명가로 축적해 온 노하우와 강점 △종합금융그룹 완성을 통해 진용을 갖춘 자회사들의 역량을 총동원해 창업·성장·도약 등 기업 성장단계별 지원을 위한 핵심 전략"이라며 "프로젝트 완수를 통해 생산적 금융으로의 전환과 포용금융 확대를 이뤄 우리금융 지속성장의 기반을 다지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