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금 행사장에 테이블이 몇 개 있는 것으로 보여?”
“행사장 규모가 매우 크네요, 정확한 수는 파악하기 어렵지만 원형 테이블이 열댓개 정도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24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아주경제신문 주최로 열린 ‘제17회 착한 성장, 좋은 일자리 글로벌포럼(2025 GGGF)’에서는 이경전 경희대 교수와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간의 즉석 대화가 이뤄졌다. AI는 이 교수의 말과 카메라 렌즈를 통해 촬영된 행사장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질문과 상황에 맞는 대답을 도출해냈다.
이날 강연을 맡은 이 교수는 “한국은 모든 분야에서 ‘G3’를 추구해야 한다”며 “AI 혁신을 위해 다수 연구소와 연구·개발(R&D) 기관들이 협력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연합전선을 구축해 전체 AI 모델을 최고의 성능으로 개선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가 AI 주요 3개국(G3)으로 발돋움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가까운 미래에 인류가 AI를 대리인(에이전트)으로 활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플랫폼이 소비자와 공급자의 접점을 제공해 이익을 창출하는 대신 AI 대리인이 독립적으로 행동하면서 플랫폼의 독점력을 해체할 것이란 전망이다.
이 교수는 “모든 사람이 박사 학위자 수준의 AI를 매일 사용할 수 있는 시대가 왔다는 것을 체감해야 한다”며 “AI가 인간을 대체하지는 않겠지만, AI를 쓰는 사람이 AI를 쓰지 않는 사람을 대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업계에서는 향후 AI가 기업 최고경영자(CEO)와 임직원을 위한 반자동 의사결정 지원 체제로 진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공장자동화의 역사에 빗대 지식노동자의 업무도 점차 통제와 조정 중심으로 변화할 것이란 예측도 있다.
이와 관련해 이 교수는 ‘AI의 본질은 IA(지능의 증강)’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AI의 성능은 사용자의 지적 자본에 따라 달라지고, AI가 개인 또는 단체의 자본을 어떻게 더 증강할 것인지가 화두로 떠오를 것이란 시각이다.
아울러 AI에 친숙하지 않은 기업을 ‘원시 기업’이라고 지칭하면서, 샘 올트먼 오픈AI 대표의 글을 인용해 “경이로움이 곧 일상이 되고, 일상은 기본값이 된다. 2030년의 개인이 2020년보다 훨씬 많은 일을 해낼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교수는 이와 같은 AI 에이전트 경제 시대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연합 AI·AX(AI 대전환) 생태계’를 구성해 AI 분야에서 G3로 발돋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과 중국을 따라하는 전략으로는 G3에 들기 어렵다”며 “각 산업 분야에서 연합 전선을 구축하고 각 기관이 협력해 AI 기반 기술 혁신을 촉진하는 범국가 프로젝트를 추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각 장치가 학습시킨 AI 모델을 서버로 전송하고, 중앙 서버가 이를 모아 최고의 성능으로 개선한 뒤 공공에 배포하는 방식으로 연합 AI를 구축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행사장 규모가 매우 크네요, 정확한 수는 파악하기 어렵지만 원형 테이블이 열댓개 정도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24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아주경제신문 주최로 열린 ‘제17회 착한 성장, 좋은 일자리 글로벌포럼(2025 GGGF)’에서는 이경전 경희대 교수와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간의 즉석 대화가 이뤄졌다. AI는 이 교수의 말과 카메라 렌즈를 통해 촬영된 행사장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질문과 상황에 맞는 대답을 도출해냈다.
이날 강연을 맡은 이 교수는 “한국은 모든 분야에서 ‘G3’를 추구해야 한다”며 “AI 혁신을 위해 다수 연구소와 연구·개발(R&D) 기관들이 협력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연합전선을 구축해 전체 AI 모델을 최고의 성능으로 개선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가 AI 주요 3개국(G3)으로 발돋움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가까운 미래에 인류가 AI를 대리인(에이전트)으로 활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플랫폼이 소비자와 공급자의 접점을 제공해 이익을 창출하는 대신 AI 대리인이 독립적으로 행동하면서 플랫폼의 독점력을 해체할 것이란 전망이다.
이 교수는 “모든 사람이 박사 학위자 수준의 AI를 매일 사용할 수 있는 시대가 왔다는 것을 체감해야 한다”며 “AI가 인간을 대체하지는 않겠지만, AI를 쓰는 사람이 AI를 쓰지 않는 사람을 대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업계에서는 향후 AI가 기업 최고경영자(CEO)와 임직원을 위한 반자동 의사결정 지원 체제로 진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공장자동화의 역사에 빗대 지식노동자의 업무도 점차 통제와 조정 중심으로 변화할 것이란 예측도 있다.
이와 관련해 이 교수는 ‘AI의 본질은 IA(지능의 증강)’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AI의 성능은 사용자의 지적 자본에 따라 달라지고, AI가 개인 또는 단체의 자본을 어떻게 더 증강할 것인지가 화두로 떠오를 것이란 시각이다.
아울러 AI에 친숙하지 않은 기업을 ‘원시 기업’이라고 지칭하면서, 샘 올트먼 오픈AI 대표의 글을 인용해 “경이로움이 곧 일상이 되고, 일상은 기본값이 된다. 2030년의 개인이 2020년보다 훨씬 많은 일을 해낼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교수는 이와 같은 AI 에이전트 경제 시대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연합 AI·AX(AI 대전환) 생태계’를 구성해 AI 분야에서 G3로 발돋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과 중국을 따라하는 전략으로는 G3에 들기 어렵다”며 “각 산업 분야에서 연합 전선을 구축하고 각 기관이 협력해 AI 기반 기술 혁신을 촉진하는 범국가 프로젝트를 추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각 장치가 학습시킨 AI 모델을 서버로 전송하고, 중앙 서버가 이를 모아 최고의 성능으로 개선한 뒤 공공에 배포하는 방식으로 연합 AI를 구축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