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미래 심우주 탐사 임무를 위해 다양한 우주 식량 개발에 나서고 있다. 최근엔 중국 우주정거장에서 세계 최초로 우주비행사들이 에어프라이어를 활용해 닭날개와 소고기 스테이크를 구워 먹는 영상이 온라인에 올라와 화제가 됐다.
5일 홍콩 명보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발사된 중국 유인우주선 '선저우 21호'가 우주 전용 에어프라이어를 실은 채 지난 1일 중국 우주정거장 '톈궁'에 도착했다. 선저우 21호에 탑승한 우주비행사 3명이 5일 지구로 귀환하는 선저우 20호 소속 우주비행사 3명과 재회해 톈궁에서 '회식'을 즐기는 영상이 유튜브에 올라왔다.
영상에서 우주비행사들은 양념에 재운 닭날개 6개를 트레이에 올려 에어프라이어에 넣고 180°C 에서 28분간 가열했다. 닭날개 외에도 이들은 후추를 뿌린 소고기 세 덩어리도 에어프라이어에 넣고 구웠다. 갓 구어내 기름이 지글지글 끓는 닭날개와 스테이크는 먹음직스러워 보이는 게 마치 지상에서 구워 먹는 것과 다를 바 없어 보인다.
이 에어프라이어는 중국우주인과학연구훈련센터에서 우주 전용으로 개발한 것이다. 류웨이보 중국우주인과학연구훈련센터 연구원은 “우주정거장에서 이러한 유형의 에어프라이어를 사용해 조리하는 것은 세계 최초"라고 설명했다.
최고 190°C의 온도까지 가열해 음식을 바삭하게 구울 수 있고, 최대 500회까지 연속 작동이 가능하다.
일반 가정용 에어프라이어와 달리, 우주용 에어프라이어는 고온촉매·다중여과 기술을 활용해 기름 연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한 게 특징이다. 사실상 환기장치(후드)를 에어프라이어에 내장해 조리 시 기름 연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무연 조리기라는 게 류 연구원의 설명이다.
뿐만 아니라 에어프라이어에 잔여물 수집장치, 가열망, 트레이, 그물망 등을 장착해 무중력 상태인 우주공간에서 음식이 둥둥 떠다니는 문제도 해결했다.
지난 2019년에도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도 시제품 오븐으로 쿠키 반죽을 굽는 실험이 이뤄졌지만, 쿠키를 굽는 데 걸린 시간만 100분이 넘었다. 중국 관영 영자지 글로벌타임스는 중국 우주정거장에서 닭날개를 28분 만에 구운 것은 ISS 오븐보다 가열 성능이 더 강력함을 보여준다며 게다가 시제품이 아닌 500회 연속 운행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더 우수하다고 설명했다.
중국은 그동안 장기 유인 우주비행 탐사 시대에 대비해 우주 요리 개발에 박차를 가해왔다. 2023년 만든 '우주 과일 채소밭'이 대표적이다. 상추·방울토마토·고구마 등 7종의 식물을 우주정거장에서 재배해 현재까지 우주비행사에 약 4.5㎏의 신선과일 채소를 제공했다. 덕분에 현재 중국 우주비행사들은 임무 수행 기간 중화요리를 포함해 190종 이상의 다양한 음식을 즐길 수 있다. 신선한 야채, 채소, 견과류, 고기, 케이크 등 먹거리 종류도 다양하다.
중국은 향후 5년간 국가 정책 방향을 담은 15차 5개년 계획에 사상 처음으로 '우주강국(航天强國)'이라는 단어를 포함시키며 앞으로 항공우주산업 발전을 지원하는 각종 정책을 더 적극적으로 내놓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중국이 '우주굴기'에 속도를 내며 5~10년 내 미국을 제치고 세계 1위 우주강국으로 뛰어오를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중국은 2019년 창어 4호가 인류 최초로 달의 뒷면에 착륙했고, 지난해엔 창어 6호가 또다시 세계 최초로 달 뒷면의 토양 시료를 채취하는 데 성공한 바 있다. 이를 바탕으로 중국은 2030년 유인(有人) 달 착륙, 2031년 화성 시료 수거, 2035년 달 기지 건설을 이룬다는 목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