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교진 신임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2일 취임 일성으로 공교육 정상화를 강조하며 “교사의 권익을 보호하고 존중하는 학교 문화를 만드는 데 최우선 과제를 두겠다”고 밝혔다.
최 장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교권 침해로 상처받는 교사가 늘어나고 열악한 근무 환경과 학생 지도의 어려움으로 교단을 떠나는 현실은 우리 교육의 안타까운 민낯”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경쟁 위주의 교육을 넘어 공동체 정신을 회복시켜 학생들이 더불어 살아가는 법을 배우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대학 진학을 선택하지 않는 청소년을 위한 지원도 약속했다. “직업계고 학생들이 산업 현장에서 인권을 침해받지 않도록 관계 부처와 협력하겠다”며, “대학을 가지 않는 학생들의 꿈과 도전도 국가가 응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장관은 또 “교사들이 지쳐 있는 현실을 우선 챙기겠다”며 “가르침과 배움, 아이들을 살리는 일에 전념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첫 과제”라고 밝혔다. 취임사에서는 기초학력 보장과 돌봄·유아교육 확대, 인공지능(AI) 기초역량 교육 지원도 주요 정책 방향으로 제시했다.
이재명 대통령의 핵심 교육 공약인 ‘서울대 10개 만들기’와 관련해선 수도권 집중을 완화하는 지역균형발전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그는 “지방대에도 전략적 투자를 확대해 수도권과 지역 간 교육 격차를 해소하겠다”며 “국가 전체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지역 대학 육성이 필수적”이라고 진단했다.
최 장관은 당면 현안으로 올해 고교 1학년부터 전면 도입된 고교학점제 안착, 학생들의 마음 건강 보호, 지방대학 균형 발전 등을 꼽았다. 이어 “국가교육위원회와 대학 총장협의회, 교육감협의회 등과 적극 협력해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성심껏 일하겠다”고 약속했다.
아울러 과거 음주운전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막말 논란 등으로 제기된 논란에 대해서는 “청문회 과정을 통해 깊이 반성했고 지금도 우려하는 분들이 계신 것을 잘 안다”며 “그 우려가 기대로 바뀔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11일 국회 교육위원회 청문보고서 채택을 거쳐 최 장관 임명안을 재가했다. 보고서는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주도로 통과됐으며, 국민의힘은 과거 전력 등을 이유로 불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