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도 국고채 발행 계획이 232조원으로 확정되면서 수급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시장 전망과 크게 다르지 않아 금리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란 전망이 나오지만, 전문가들은 물량 소화를 낙관하기에는 이르다는 분석이다.
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장내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 거래일 대비 0.009%포인트 오른 2.435%로 마감했다. 10년물 금리는 0.032% 오른 2.847%를 기록했다. 최근 3거래일 연속 금리가 상승한 것으로, 발행 물량 확대에 대한 경계심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29일 국무회의에서 '2026년 예산안'을 의결하면서 내년 국고채 발행 규모를 232조원으로 제시했다. 이는 올해 본예산 기준 197조6000억원보다 34조4000억원 늘어난 수치다. 순증 발행 규모는 115조7000억원으로, 지난해(80조원) 대비 35조원 이상 증가해 역대 최대 수준이다.
최근 발행 추이를 보면 2022년 168조6000억원, 2023년 165조7000억원, 2024년 157조7000억원으로 감소세를 보이다가 올해 207조1000억원으로 크게 늘었고, 내년에는 232조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시장에서는 230조원 안팎이 이미 컨센서스로 자리 잡았던 만큼, 발표 자체가 금리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란 반응이 지배적이다.
다만 공급 부담은 여전히 우려 요인으로 꼽힌다. 금융투자업계에선 올해 추가경정예산을 포함한 발행 규모와 비슷한 수준이 내년에도 반복될 경우, 금리 하락을 제약하는 구조가 지속될 수 있다고 본다. 특히 내년에도 추경이 편성되면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증권가에서는 수요 전망도 낙관하기 어렵다고 분석한다. 김성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물량 소화 낙관론은 WGBI 편입으로 인한 외국인 자금 유입, 기준금리 하락 사이클 등을 근거로 든다"며 "WGBI 편입은 3년째 이어져 온 이야기며 약 60조~76조원의 외국인 자금이 들어올 것을 예상하지만 이 중 상당 규모는 이미 시장에 들어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