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집값 사회적 수준보다 너무 높아…주가는 버블 전혀 아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 참석해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 참석해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집값과 관련해 "소득 수준을 고려하거나 사회적 안정을 유지하기에 너무 높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한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한 후 기자간담회를 열어 "과거 쌓였던 유동성이 이동하면서 일부 자산 가격을 올리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통상적으로 기준금리를 100bp(1bp=0.01%포인트) 인하하면 성장률이 0.24%포인트 오르는 효과가 있는데 이번 사이클에서는 성장보다는 자산가격 상승에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다만 이 총재는 장중 3900선을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코스피에 대해선 "국제 비교로 보면 아직 크게 높은 수준이 아닌 만큼 버블을 걱정할 수준은 전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나 "인공지능(AI) 섹터는 전 세계적으로 버블이다 아니다 논란이 많아서 조정받을 가능성도 있다고 본다"고 경고했다.

이 총재는 "부동산 가격 상승이 경제성장률이나 잠재성장률을 갉아먹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는 "부동산 자산 가격이 올라 불평등도 심화되고 있는 만큼 고통이 따르더라도 구조 개혁을 계속 해야 한다"며 "월세 받는 사람들에 세제 혜택을 주는 등 정책도 조화시켜야 한다"고 했다.

다만 이 총재는 통화정책만으로 부동산 가격을 조절할 수 없다는 데 대해선 분명히 했다. 부동산 가격 상승세가 빠른 시일 내 꺾이지 않더라도, 경기 둔화를 감안해 기준금리 인하도 고려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그는 "부동산 가격은 인플레이션 타기팅(목표 수준 달성)처럼 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라면서 "물가는 우리가 주도권을 잡고 정책을 하지만 부동산 가격은 정부 정책을 할 때 통화정책으로 부추기는 쪽으로 가지 않겠다는 스탠스"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부동산 가격이 높으면 계속 (금리를 동결한 채) 기다린다는 것은 아니다"라며 "경기도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금리 인하로 부동산 시장이 더 과열될지 판단하겠지만 금리 인하를 안 했을 때 경기가 훨씬 더 나빠질지도 같이 판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