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가을 꽃게 어획량 2배↑..."수온 민감성 어획량으로 확인"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올해 가을철 꽃게 어획량이 지난해보다 약 2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수협중앙중앙회는 이번 결과가 기후변화에 따른 수온과 어장 환경의 변동에 크게 좌우되는 만큼 수산물 생산성 제고를 위한 기후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29일 수협중앙회가 금어기가 해제된 지난 21일부터 일주일 동안 전국 수협 회원조합의 꽃게 위판량을 분석한 결과 올해 위판량은 1340t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677t)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로 최근 10년 평균(777t)보다도 563t 증가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앞서 "꽃게 어장의 밀집과 분산에 작용하는 서해 저층의 냉수 세력이 전년보다 연안 및 남쪽으로 확장되면서 꽃게 어장이 밀집해 어획 효율이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한 바 있는데 실제 현장 집계도 이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실제 지역별로는 군산시수협이 지난해 36t에서 올해 191t으로 155t 증가해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인천수협은 134t 늘어난 222t을 위판하며 전국 수협 가운데 가장 많은 꽃게를 위판한 곳으로 집계됐다.

충남 지역 수협은 같은 기간 261t이 더 잡혀 총 472t의 위판고를 올리며, 전국에서 꽃게가 가장 많이 잡힌 지역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해 남단에 위치한 영광군수협의 위판량은 어장 분산의 영향으로 지난해 161t보다 150t 감소한 11t에 그쳤다.
 
가격은 위판량이 늘었음에도 금어기 해제 직후 수요가 몰리며 지난해보다 kg당 1222원 오른 5603원을 기록했다. 다만 최근 10년 평균 단가 6761원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노동진 수협중앙회장은 "수온 등 기후변화에 따라 어장 환경이 해마다 급변하며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고 있다"며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적극 마련해나가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