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현석 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본부 차세대무인기 개발센터장은 인공지능(AI)과 기존 모빌리티 기술이 최근 빠르게 융합되면서 미래에는 현재 이용 범위를 뛰어넘는 광범위한 분야에서 드론 활용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현석 센터장은 27일 ‘아주모빌리티포럼’에 참석해 최근 AI 기술 발전으로 인해 현재의 드론 산업이 미래에는 군수는 물론 건설·인프라 점검, 농업과 환경, 소방과 치안 등에도 폭넓게 응용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센터장은 감시정찰을 예로 들며 “AI 기술이 접목된 드론이 자동으로 사물을 식별해 사람이 즉석에서 인지하는 것이 가능해졌다”며 “AI는 드론을 단순히 사람을 보조하는 수준을 넘어, 완전한 임무 수행이 가능한 지능형 플랫폼으로 근본적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AI 접목 드론은 자율비행 기능이 적용돼 충돌회피, 자동 경로 계획을 통해 드론 스스로 지정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며 “다수의 드론이 임무 재할당을 활용해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고 전했다.
그는 대한항공 등 산업계 역시 AI 기술에서 파생된 드론 기술의 패러다임 전환에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대한항공은 AI 드론을 활용한 항공기 외관검사 시스템을 개발해 보잉과 함께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다”며 “현재 항공기 1대에 대한 육안검사에 8시간이 소요되지만 AI를 적용한 드론을 활용하면 4대가 동시 비행해 2시간 정도만 소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 센터장은 “운항사 운항개념을 기반으로 복잡한 도심 교통환경에 적합한 교통관제시스템도 국토부 과제를 통해 개발 중”이라며 “실증 비행을 통해 획득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AI를 접목해 성능을 향상 중”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