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모빌리티포럼] 강창봉 본부장 "드론 산업 성장 가속…제도·인프라 미리 구축해야"

  • 강창봉 항공안전기술원 미래항공본부장 기조강연

  • "드론산업, 선택 아닌 필수…장기적 지원 필요"

    
강창봉 항공안전기술원 미래항공본부장이 27일  아주 모빌리티 포럼에서 강연을 하고 있다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강창봉 항공안전기술원 미래항공본부장이 27일 '아주 모빌리티 포럼'에서 강연을 하고 있다.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국내 드론의 활용 영역이 국방·물류·재난안전·국토관리 등에서 빠르게 확장돼 드론산업을 육성할 수 있는 제도적,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조언이 나왔다. 

강창봉 항공안전기술원 미래항공본부장은 27일 아주경제신문과 더불어민주당 안태준 의원 공동 주최로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아주모빌리티포럼'에서 기조강연자로 나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드론이 활용되는 것을 보듯 드론산업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며 "기술 성숙도와 국제 경쟁력, 글로벌 수요 등을 고려해 육성 정책의 선택과 집중으로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 본부장에 따르면 국내 드론산업 규모는 2023년 기준으로 1조993억원을 기록했다. 2019년의 3996억원과 비교해 빠르게 성장한 모습이다. 드론 신고 대수는 지난해 6만4863대를 기록해 5년 동안 4배 증가했다. 조종자격 취득자는 지난해 64만8965명으로 6만명을 돌파했다. 드론 사업체도 2020년 3635개에서 지난해 6431개로 확대됐다. 

강 본부장은 "드론 배터리와 모터, 프로펠러 등 핵심부품에 대한 해외 의존도는 빠른 속도로 개선되고 있다"면서 "드론기업의 해외진출 지원사업 성과를 보면 지난해 9월까지 누적 543억원의 수출 실적을 달성했다. 지난해 수출액은 2021년 대비 450% 급증했다"고 전했다. 

그는 "한국은 가장 빠른 속도로 드론산업이 성장하는 국가로 분류된다"면서도 "하지만 시장 규모는 전 세계의 2% 내외 수준"이라고 밝혔다. 강 본부장에 따르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투입된 상업용 드론의 경우 다량의 중국 제조 드론이 활용됐다. 중국의 드론 시장 규모는 전 세계의 22~29%를 차지할 만큼 앞서가는 모습이다. 

강 본부장은 드론 도심항공교통(UAM)과 관련해 기체를 개발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 최대 12년이라며 최근 일본의 실패 사례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그는 "올해 상용화를 목표로 한 일본의 UAM은 일반인이 탈 정도의 안정성 검증이 안 됐고, 관람객 배송 시연 탑승만 하는 수준"이라며 "그마저도 사고가 발생하면서 제한된 정도의 지원만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UAM 상용은) 생각보다 굉장히 오래 걸리고 요구되는 기술 수준도 높다"며 "장기적 계획을 세우고 예산도 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강 본부장은 △농업 △소방 및 산림 △건설 및 시설관리 △물류 및 배송 △항공 등 5대 프로젝트 분야에 대한 정부의 지원을 강조했다. 그는 또 "드론 교통량 증가에 대비한 교통관리 체계 도입 등 드론 활용 생태계 조성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