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이 15일(현지시간) 미 알래스카 앵커리지의 엘멘도프-리처드슨 합동기지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악수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럽 정상들에게 우크라이나에 대한 미국의 안보 보장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동안 우크라이나의 요청을 거부해 온 트럼프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회담 이후 전격적으로 입장을 바꾼 것이다. 이에 유럽 주요국들은 일제히 환영의 입장을 밝힌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의 안보 보장 약속이 3년 넘게 이어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마중물이 될지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안보 보장을 제공할 의향이 있음을 유럽 지도자들에게 전달했다고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6일(현지시간) 복수의 유럽 관계자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다음 날인 이날 유럽 지도자들과 전화회의를 가졌다. 이 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평화협상이 체결될 경우 지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우크라이나에 서방측 군대가 주둔하는 것을 허용해야만 한다’는 점을 푸틴 대통령이 수용했음도 유럽 지도자들에게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푸틴 대통령은 전날 미 알래스카 앵커리지 북부의 엘먼도프-리처드슨 합동기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후 열린 공동 기자회견에서 “우크라이나의 안보 보장이 필요하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의견에 동의했다”며 “관련 작업을 시작할 준비가 됐다”고 밝힌 바 있다.
전화회의에 참여한 일부 유럽 관계자들은 미국의 안보 보장이 제공된다면 러시아가 성실하게 협상에 임할 준비가 돼 있다는 전재 하에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푸틴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타협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의 ‘안보 보장’ 발언은 그동안 우크라이나 전쟁을 바라본 시각과는 상반된다. 우크라이나는 그간 러시아의 재침공을 막기 위한 미국의 안보 보장을 꾸준히 요구해 왔지만 미국은 이를 거부해 왔다. 지난 2월 말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젤렌스키 대통령이 공개석상에서 거친 말다툼을 벌인 요인 중 하나도 젤렌스키 대통령이 안보 보증을 끈질기게 요구했기 때문이라고 WSJ는 짚었다.
유럽주요국들 “우크라 영토보전 위해 철통 안보 보장 필요”
유럽 주요국은 우크라이나에서 교전을 즉각 멈춘 후 종전 협상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을 사실상 접고 우크라이나 안보 보장 방안을 구체화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프랑스·이탈리아·독일·영국·핀란드·폴란드 정상과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EU 정상회의 상임의장은 이날 성명에서 “미국이 (우크라이나의) 안보를 보장할 준비가 됐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우크라이나 주권과 영토 보전을 효과적으로 방어하기 위해 철통같은 안보 보장이 필요하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며 “다음 단계는 젤렌스키 대통령을 포함한 추가 회담이 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일단 휴전하고 나머지 문제를 협상해야 한다는 주장은 이날 성명에서 제외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초 알래스카 회담에서 푸틴 대통령에게 우크라이나전 즉각 휴전을 요구하고, 이에 응하지 않으면 제재를 압박할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이와는 달리 푸틴 대통령의 입장을 수용해 당장의 휴전보다 평화협정을 통한 전쟁 종식 쪽으로 방침을 급선회했다. 미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이 돈바스 지역을 포기한다면 러시아와 신속한 평화 협상이 가능할 것이라고 유럽 정상들에게 전했다. 돈바스는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주와 루한스크주를 뜻한다. 러시아는 현재 루한스크의 거의 전부, 도네츠크의 약 75%를 장악했다. 다만 도네츠크 서부의 전략적 요충지는 여전히 우크라이나군이 통제 중이다. 푸틴 대통령은 기존에도 돈바스를 러시아에 완전히 넘기는 것을 조건으로 휴전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여왔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휴전을 거부하고 있는 러시아가 전쟁 종식 노력을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고 당혹감을 토로했다. 그는 소셜미디어 X(옛 트위터)에 “러시아는 여러 차례 휴전 요구를 거부하고 있으며, 언제 살육을 중단할지도 결정하지 않고 있다. 이 점이 상황을 복잡하게 만든다”며 “살상을 중단하는 것이 전쟁을 멈추는 데 핵심 요소”라고 적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