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현 외교부 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정한 상호관세 부과의 유예기간(8월 1일) 하루 전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 대면한다. 두 장관은 첫 대면에서 관세 협상 추이에 따라 최종 타결안을 조율하고 한·미 정상회담 일정 등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28일 외교 소식통 등에 따르면 조 장관은 오는 31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루비오 국무장관 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이재명 정부의 첫 한·미 외교장관회담을 가진다. 조 장관의 이번 방미는 지난 21일 취임한 이후 첫 해외 출장이다.
양 장관의 만남은 관례적으로 제일 먼저 이뤄졌던 한·미 외교장관 간 상견례 성격 통화를 건너뛴 첫 대면이어서 더 주목된다. 두 장관은 회담에서 한·미 간 관세 협상의 최종 타결을 위해 여러 가지 의견을 교환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관세 협상이 잘 이뤄진다면 한·미 정상회담 관련 소통도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지난주 개최 예정이던 한·미의 '2+2 고위급 재무·통상 협의'는 미국 측의 석연치 않은 사정으로 연기됐지만,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미국에 계속 머물며 협상을 진행 중이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조 장관과 마찬가지로 31일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과 협상을 할 예정이다.
한편, 조 장관은 방미에 앞서 취임 후 처음 일본을 방문해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과 회담을 가질 것으로 알려졌다. 조 장관은 지난 24일 이와야 외무상과 첫 전화 통화를 한 바 있다. 양국 장관은 당시 통화에서 지역·글로벌 정세 대응을 위해 양국이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계속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 데 공감하고, 정상 간 셔틀외교는 물론 장관 간에도 긴밀히 의사소통하자는 데 뜻을 같이했다.
조 장관은 이번 방일에서 한·일 양국의 경제, 문화 등 여러 분야의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할 전망이다. 북한 핵·미사일 문제, 한·미·일 공조 등도 의제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조 장관은 한·일 외교장관 회담 이후 30일 일본에서 곧바로 방미길에 오를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