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과 유럽연합(EU)이 정상회담을 하루 앞두고 대부분의 EU산 수입품에 대해 15% 수준의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두고 막바지 협상에 돌입했다. 양측은 주요 품목 관세와 적용 방식 등을 둘러싸고 치열한 협상을 이어가고 있으며, 논의 과정은 때때로 ‘전투적’이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는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FT는 협상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과 EU 고위 당국자들은 이날 밤늦게까지 EU산 철강, 자동차, 의약품에 적용될 관세율에 대한 최종 세부 사항을 놓고 팽팽한 의견 차를 보였다고 전했다.
이번 협상은 미국이 지난 22일 일본과 체결한 관세 합의와 유사한 방식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EU산 수입품에 15% 수준의 상호관세를 적용하는 방안이 골자다.
하지만 철강, 자동차, 의약품 등 일부 품목을 둘러싼 적용 방식과 세부 조건을 놓고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다. 미국 측은 최소 15%에서 최대 20% 수준의 관세를 제시한 반면, EU는 일부 민감 품목에 대한 예외 적용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27일 스코틀랜드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관세 협상 최종 담판에 나선다. 이 회동은 트럼프 대통령이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을 스코틀랜드로 초청하면서 성사됐다.
미국 워싱턴DC에 머물던 러트닉 상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도 트럼프 대통령이 방문 중인 스코틀랜드로 이동해 협상 마무리에 합류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스코틀랜드 도착 직후 기자들과 만나 “쟁점은 아마도 20개나 될 것”이라며 “당신은 그걸 다 듣고 싶진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미국과 EU는 지난 4개월간 관세 협상을 이어왔으며 EU는 지난 9일 “수일 내 미국과 원칙적 합의를 맺을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2일 EU 측에 “8월 1일부터 EU산 수입품에 대해 30%의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내용의 서한을 보내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
현재 EU산 제품에는 기존 평균 4.8%의 관세와 트럼프 대통령이 새로 도입한 기본관세 10%가 추가로 부과되고 있다. 이에 맞서 EU는 지난 24일 미국산 항공기, 자동차, 버번위스키 등 총 930억 유로(약 150조원) 규모의 수입품에 대한 보복관세안을 확정했으며 협상 불발 시 내달 7일부터 시행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