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 하원이 14~18일(현지시간)을 ‘가상자산 주간’(크립토 위크)으로 설정하고 암호화폐 입법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이번 주간에는 암호화폐 관련 법안 3건에 대한 표결이 예정된 가운데 그중에서도 기존 화폐에 가치를 연동한 스테이블코인 규제 체계를 처음으로 마련한 ‘지니어스법’에 이목이 모아지고 있다.
지니어스법은 미국 연방 정부 차원에서 최초로 스테이블코인 규제를 법제화한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이 법안은 결제용 스테이블코인의 정의를 명확히 하고 스테이블코인과 1대 1 비율로 현금성 준비금 보유 의무화, 회계 투명성 확보, 소비자 보호 장치 마련, 발행자 등록 요건 제시 등을 핵심으로 한다. 특히 준비금 내역은 매월 공개해야 하며 파산 시 스테이블코인 보유자에게 최우선 변제권을 부여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아울러 자금세탁방지(AML), 고객확인의무(KYC), 테러자금 차단을 위한 의무도 포함된다. 총 발행 규모가 100억 달러(약 13조8000억원)를 초과하면 연방 차원에서 규제를 받아야 한다. 외국 발행자에 대해서도 미국과 동등한 규제 체계를 갖춘 국가만 발행을 허용하며 미국 내 등록 및 준비금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반면 비판론도 제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스테이블코인 투자에서 드러난 이해충돌 문제와 함께 법안이 암호화폐업계 친화적이어서 충분한 소비자 보호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달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스테이블코인 중심의 암호화폐 기업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 투자로 인해 5740만 달러의 이익을 올렸다는 소식이 전해지기도 했다.
엘리자베스 워런 민주당 상원의원은 “이 법안은 소비자 보호가 허술하며 오히려 허약한 규제로 인해 소비자와 경제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