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남북 관계를 두고 "국민의 일상을 위협하지 않도록 한반도의 평화 공존을 향한 작은 발걸음을 통해 사실상의 통일로 계속 나아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 후보자는 14일 오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 모두발언에서 "자유의 북진이 아닌 평화의 확장으로, 적대적 대결이 아닌 화해와 협력으로 한반도 평화의 물길을 다시 돌려세워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남북 관계의 구조적 환경도 어느 때보다 악화된 상태다. 엄혹한 국제 정세 앞에서 한반도 문제에 대한 희망과 기대보다 걱정과 우려의 시선이 큰 것도 사실"이라면서도 "지난 시기를 돌아보면 급변하는 국제 질서와 강대국 정치의 틈바구니 속에서도 우리는 한반도 평화 구축의 역사를 쉼 없이 써내려 왔다"고 평가했다.
이어 "남과 북은 1991년 남북기본합의서 체결을 통해 평화 공존을 향한 화해 불가침 교류 협력 원칙에 합의했다. 또 민족공동체 통일 방안 수립을 통해서 자주평화민주의 원칙과 함께 화해 협력을 1단계로 하는 점진적, 단계적, 평화적 통일에 대한 폭넓은 국민 합의를 도출했다"고 강조했다.
또 "역사적인 6·15공동선언, 그리고 10·4 정상선언을 통해서 남북 공동 번영의 시대를 열었다. 9·19 공동성명으로 북핵 문제 해결에 이정표를 남기기도 했다"며 "이런 노력은 2018년 4·27 판문점선언, 그리고 2018년 9·19 평양공동선언으로 이어졌다"고 덧붙였다.
정 후보자는 "당시는 불가능해 보였지만, 국민의 인내와 저력이 만들어 낸 역사적 산물이었다"며 "남북이 함께 흘린 땀과 눈물의 값진 결과물"이라고 힘줘 말했다.
아울러 "과거가 현재를 돕고 죽은 자가 산 자를 구한다. 폐허가 돼 버린 남북 관계를 다시 복원하고, 무너진 한반도의 평화 공존 체제를 재구축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지난 시기에 남북이 합의한 것들에 대한 이행 방안을 고민하면서 멈춰서 버린 1단계 화해 협력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며 "힘을 보태 주신다면 그동안 쌓아 온 제 경험을 남북 관계 복원, 한반도 평화 구축을 위해 바치겠다"고 다짐했다.
한편 이날 인사청문회에서는 정 후보자의 '이해충돌' 관련 의혹이 집중적으로 제기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은 정 후보자가 가족이 태양광 관련 사업을 운영하고 있음에도 태양광 사업 지원 법안을 발의한 데 대해 이해충돌 가능성을 주장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