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대신 논콩 육성 박차…"국산콩 지원 늘려 관련 산업 육성"

  • 올해 콩 재배면적, 작년 대비 12.3%↑

  • 수매·비축 확대로 시장 안정화 집중

  • GMO 논란 자유로운 국산콩…"프리미엄 시장 집중"

사진임실군
드론을 활용해 논콩 농사 병해충 방제 작업을 하는 모습 [사진=임실군]

정부가 만성적인 쌀 공급 과잉을 해소하기 위해 논콩 등 타작물 재배 확대 정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국산콩 활용 지원을 늘려 생산·가공 업체의 애로 사항을 해결하는 동시에 관련 산업을 육성하려는 모습이다.


2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등에 따르면 올해 콩 재배면적은 8만3133㏊로 전년 대비 12.3% 확대됐다. 논콩 재배면적과 밭콩 재배면적은 각각 3만2920ha, 5만213ha로 집계됐다. 특히 논콩 재배면적은 1년 전보다 46.7%(1만482ha) 증가했다.

쌀 공급 과잉 해소를 위한 전략작물 직불제 영향이다. 정부는 논에 벼 대신 논콩을 재배하면 공익직불금과 함께 전략작물직불금도 지급한다. 또 전략작물 제품화 패키지 지원사업 등을 통해 장비를 대여하는 등 전·후방 산업을 지원하고 있다.

수급 안정을 위해 콩 수매·비축도 확대하고 있다. 정부는 올해산 콩 6만t을 수매할 계획이다. 최근 3년 콩 수매량은 △2022년 1만8697t △2023년 3만2524t △2024년 4만9770t으로 증가세를 나타냈다. 반면 지난해산 콩 방출량은 3000t으로 2023년산(6000t)보다 크게 줄었다. 적극적 수매·비축으로 콩 시장 안정을 도모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다만 정부는 국산콩 육성과 별개로 저율관세할당(TRQ) 기반의 수입콩 물량을 유지하고 있다. 식품 가공 업체가 국산보다 저렴한 수입콩을 찾는 경향이 있어 시장 혼란 최소화 차원에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국산콩 소비 촉진이 필요하지만 올해도 가공 업체 준비 상황 등을 고려해 TRQ 예년 증량분만큼 공급했다”면서 “수입콩 공급이 충분했음에도 일부 업체들은 가격이 저렴한 수입콩 추가 공급을 요구하며 시장 왜곡이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국산콩을 프리미엄 시장으로 전환하겠다는 방침이다. 수입콩과 달리 생산 과정을 신뢰할 수 있는 점도 국산콩의 강점이다. 남인순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해 콩 수입량 119만4256t 가운데 76.0%(90만7119t)가 유전자변형농산물(GMO)이었다. 반면 국산콩은 GMO 논란에서 자유롭다.

정부는 국산콩 제품화 지원을 늘릴 계획이다. 올해 ‘국산콩 제품화 패키지 지원사업’에 18억원을 투입했고,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는 45억원을 배정한 상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국회 논의 과정을 지켜봐야겠지만 정부 예산안에 내년도 예산 45억원이 반영된 상태”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