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원·달러 환율이 1400원 이상을 기록한 거래일이 123일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에 하루꼴로 1400원대를 넘긴 셈으로, 사실상 ‘1400원 뉴노멀’이 현실화됐다. 외환당국이 연일 안정화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시장의 반응은 미지근하다.
26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는 6.8원 내린 1465.6원으로 집계됐다. 이날을 포함해 올해 원·달러 환율은 외환시장 거래가 있었던 218일 중 123일간 1400원을 넘어섰다. 이는 외환위기 시기인 1997년(14거래일), 1998년(70거래일)뿐 아니라 글로벌 금융위기 시기인 2008년(12거래일), 2009년(26거래일)을 모두 크게 웃도는 기록이다.
이날 환율은 정부가 추가 안정 메시지를 발표하자 장중 1457원까지 내려가며 약 일주일 만에 1460원선을 밑돌았으나, 기대에 못 미친 대책 탓에 다시 1460원대로 올라섰다. 당초 시장에서는 국민연금의 환헤지 확대 등 실질적 조치가 나올 것이라는 관측이 있었지만 구체적 내용이 제시되지 않았다. 간담회 여파로 장중 변동폭도 10원 이상 벌어졌다.
시중은행 외환딜러는 “시장 기대에 비해 부총리의 발언이 약했던 것으로 보인다”며 “국민연금 환헤지 가능성이 여전히 있고, 환율이 1480원까지 오르면 당국이 개입할 여지도 있어 크게 오르진 않겠지만 당분간 1450원대 아래로 내려갈 요인도 없다”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국민연금뿐 아니라 민간 수요에 주목하고 있다. 국내 해외주식 투자 잔액 중 국민연금 비중은 약 41%로 절반에 미치지 못하며, 현재 달러 수급의 핵심은 개인·기관이라는 해석이다. 위재현 NH선물 연구원은 “해외주식 투자 규모만 봐도 개인과 기관이 연금보다 더 많은 금액을 보유하고 있어 수급 불안이 쉽게 해소되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간담회에서 “외환시장 변동성이 지나치게 확대될 경우 단호하게 대처한다는 원칙 하에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기재부·보건복지부·한국은행·국민연금으로 구성한 4자 협의체를 통해 ‘뉴 프레임워크’ 구축 논의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서학개미’에 대한 해외주식 양도세를 상향 조정할 가능성도 내비쳤다. 최근 환율 급등의 주요 요인 중 하나로 개인들의 해외주식 투자가 지목되면서 사실상 페널티를 줄 수 있다는 의미다. 현재 해외주식 양도차익은 250만원 공제 후 22%(지방세 포함)의 세율이 적용되는데, 상황에 따라 세율 조정 가능성이 거론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