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고환율·고물가로 국민 고통...건정재정 기조로 바꿔야"

  • 장동혁 "李, 재판 막는 데 골몰해 경제 골든타임 놓쳐"

  • 송언석 "확장적 재정정책 무리하게 추진...경제 구조개혁 필요"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국민의힘은 최근 원·달러 환율이 치솟는 등 고환율·고물가 상황이 지속되는 것을 두고 이재명 정부를 향해 "확장재정 기조를 건전재정 기조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장동혁 대표는 2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한국의 실질실효환율 지수는 10월 말 기준으로 IMF 이후 16년 2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장 대표는 "환율은 이제 1500원 대를 눈앞에 두고있다"며 "매년 200억 달러의 대미 투자가 시작되면 외환위기는 더 커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물가도 지속적으로 상승해 서민들의 장바구니에는 한숨만 담기고 있다"며 "고환율·고물가로 국민이 겪는 고통은 결국 이재명 정부의 무능에서 나오는 무능세"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이 자신의 재판을 막는 데 골몰하느라 경제의 골든타임을 계속 놓치고 있다"며 "물가 상승 요인 중에는 이재명 정부의 무분별한 확장재정정책이 한몫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민을 입틀막 하듯이 틀어막는다고 물가가 잡히는 게 아니다"며 "내년 퍼주기 예산은 경제를 더욱 위기로 몰아넣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빚을 권하는 것은 복지가 아니라 미래 세대를 약탈하는 것"이라며 "약탈적 포퓰리즘이 아니라 청년의 미래를 챙기는 정책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제 호텔경제학에서 벗어나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

송언석 원내대표는 "환율 상승의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한마디로 요약한다면 대한민국 경제에 대한 구조적인 불신"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확장적 재정정책을 무리하게 추진하다보니 결과적으로 소모적인 재정지출 늘어나고, 시중의 원화유동성이 늘어나면서 국가 부채가 늘어나는 악순환이 계속돼 결과적으로 환율이 1470원을 돌파하는 상황으로 보인다"며 정부·여당을 향해 "지금 필요한 것은 무분별한 재정살포가 아니라 경제 기초체력 회복을 위한 구조개혁이다. 경제를 정상화시키기 위한 기본적 대책에 집중해달라"고 촉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