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 BIZ] 대만 유사시 발언에 中·日 긴장 고조…중국, 센카쿠 해역서 무력 시위 강화

  • 해경선 4척 영해 침입·군용 드론 요나구니 접근

  • 中관영매체 "日에 실질적 반격 준비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왼쪽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 사진AFP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왼쪽)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 [사진=AFP·연합뉴스]

대만 유사시 일본의 개입 가능성을 시사한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발언 이후 중·일 관계가 급격히 경색되는 가운데 중국이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해역에 해경선을 진입시키고 일본 외곽 영토 인근에 군사 드론을 띄우는 등 긴장감을 한층 고조시키고 있다.

지난 16일 영국 가디언 등 외신들에 따르면 중국 해경국은 이날 "해경 1307함정 편대가 센카쿠 열도를 순찰했다"며 "이는 중국의 권리와 이익을 수호하기 위한 합법적 작전"이라고 주장했다. 중국은 센카쿠 주변 순찰 사실을 공개하며 영토 주장을 강화해왔고, 일본이 자국의 '핵심 이익'을 침해한다고 판단할 때마다 해경선을 보내 무력 시위를 벌여왔다.

일본 해상보안청도 이날 오전 10시14분부터 10시30분까지 오키나와현 이시가키시 센카쿠열도 남소도 앞 일본 영해에 중국 해경국 소속 선박 4척이 잇따라 침입했다고 밝혔다. 이들 선박은 모두 포를 탑재한 상태였다. 선박들은 같은 날 오전 11시45분께 영해 밖으로 벗어났다. 중국 해경선의 영해 침입은 지난 10월 15일 이후 처음이다.

센카쿠열도는 동중국해에 위치한 무인도 군도로 일본이 실효 지배하고 있으나, 중국 역시 자국 영토라고 주장하며 일본이 불법 점거하고 있다고 반발해 왔다. 일본 해상보안청에 따르면 중국 해경선은 올해 들어 지난달 15일까지 총 27일간 이 해역에 진입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 내부에서는 대일 강경 메시지도 잇달아 나오고 있다. 관영 중국중앙TV(CCTV) 계열 소셜미디어 계정 위위안탄톈은 15일 게시물에서 최근 중국 정부가 "모든 후과(나쁜 결과)는 일본이 져야 한다", "(중국이) 반드시 정면 공격을 가할 것"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며 "이런 표현들은 중국이 이미 실질적 반격 준비를 마쳤다는 신호를 발신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 계정은 중국국제문제연구원 샹하오위 연구원의 분석을 인용해 최근 중국 당국이 사용 중인 '정면 공격'이 "단순한 외교적 수사일 뿐 아니라 명확한 군사적 의미를 갖고 있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자국의 랴오닝함·산둥함·푸젠함 등 항공모함 3척과 이달 시험 항해에 들어간 경항모 쓰촨함, 둥펑 탄도미사일 등이 '정면 공격'의 의미를 일본에 가르쳐줄 것이라고 위협했다.

중국의 이같은 움직임은 다카이치 총리가 지난 7일 국회에서 대만 유사시에 집단 자위권을 발동할 수 있다고 밝힌 직후에 발생한 것으로, 그 파장이 날로 커지고 있다. 중국은 이 발언이 대만 문제에 대한 일본의 무력 개입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했으며, 발언 철회를 요구하는 메시지도 잇달아 내고 있다.

중국은 대만을 자국 영토로 간주하며 통일 방침을 고수하고 있고, 무력 사용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가디언은 중국의 대만 공격 또는 침공이 미국과 일본 등 동맹국을 끌어들여 지역적·세계적 충돌로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일본의 최서단은 대만에서 불과 110㎞ 떨어져 있다.

이와 함께 중국 군용 드론이 일본 영토 인근까지 접근한 정황도 포착됐다. 대만 국방부는 중국 군사 드론 최대 3대가 대만과 일본 북동쪽 외곽 섬들 사이를 비행했으며, 일부는 일본 최서단 섬 요나구니에 매우 근접했다고 밝혔다.

한편 교도통신은 15~16일 유권자 104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화 여론조사에서 대만 유사시 집단적 자위권 행사에 대해 찬성이 48.8%, 반대가 44.2%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또한 다카이치 총리가 이끄는 내각 지지율은 지난달 조사와 비교해 5.5%포인트 상승한 69.9%로 집계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