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P5 착공 추진 등 국내에 5년간 450조 투자

  • 평택사업장 5라인 공사 착수… 메모리 수요 대응 투자

  • 지역 균형발전 위해 첨단 산업·AI 지방 투자 크게 늘려

  • 6만명 신규 채용 외에 CSR 통한 청년 일자리 창출 기여

삼성전자 서초사옥 사진연합뉴스
삼성전자 서초사옥 [사진=연합뉴스]

삼성이 향후 5년간 연구개발(R&D)을 포함한 국내 투자에 총 450조원을 투입하는 등 공격적인 투자에 나서기로 했다.

16일 삼성전자는 최근 임시 경영위원회를 열고 평택사업장 2단지 5라인의 골조 공사를 추진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글로벌 AI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메모리 반도체 중장기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보고, 시장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생산라인을 선제적으로 확보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평택사업장 2단지에 새롭게 조성되는 5라인은 오는 2028년부터 본격 가동될 예정이며, 안정적인 생산 인프라 확보를 위해 각종 기반 시설 투자도 병행 추진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수도권 이외 지역 투자도 확대한다. 삼성SDS는 인공지능(AI) 인프라 강화를 위해 전남에 국가 컴퓨팅센터를, 구미에는 AI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다거점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국가 AI컴퓨팅센터는 2028년까지 1만5000장 규모 그래픽처리장치(GPU) 인프라를 구축해 학계·스타트업·중소기업에 제공할 계획이며, 구미 데이터센터는 삼성전자 등 관계사 중심으로 AI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점으로 2028년 완공을 목표로 한다.

삼성전자는 이달 초 인수를 마친 유럽 최대 공조기기 업체 플랙트의 한국 생산라인 건립을 추진하며 AI데이터센터 수요 대응에 나선다. 플랙트는 광주광역시에 생산라인 건립을 검토 중이며 인력 확충도 병행하고 있다.

삼성SDI는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의 국내 생산 거점 구축을 추진 중이며 울산 사업장을 유력 후보지로 검토하고 있다. 2023년 수원 SDI연구소에 전고체 파일럿 라인을 설치해 시제품 생산 및 고객사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2027년 양산을 목표로 한다. 최근 BMW와 전고체 배터리 실증 프로젝트 협약을 체결하며 경쟁력 확보에도 나서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충남 아산사업장에 구축 중인 8.6세대 정보기술(IT)용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생산시설을 올해 말 시험가동하고 내년 중순 양산을 준비하고 있다. 충남테크노파크 혁신공정센터에는 노광기를 포함한 유휴설비 14종을 기증한 바 있다.

삼성전기는 2022년부터 부산사업장에 고부가 반도체 패키지기판 생산능력 강화를 위한 투자를 이어오고 있다. 국내 최초로 서버용 패키지기판을 개발해 양산 중이며, 빅테크 대상 공급을 확대하고 AI 가속기용 신규 고객 확보도 추진하고 있다.

청년 일자리 창출과 협력사와의 상생에도 더욱 힘쓰기로 했다.

삼성은 향후 5년간 6만 명을 신규 채용하기로 했다. 직접 채용 외에도 청년 실업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청년 교육·상생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관련 CSR 프로그램은 직·간접적으로 8000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

삼성은 1~3차 협력회사의 설비투자·기술개발·운영자금 등 필요 자금을 저리로 대출 지원하고 있으며, 올해 상반기 기준 1051개사에 2조321억원을 지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