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이재명 대통령을 포함해 재계 주요 인사가 참여한 '한·미 관세 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 자리에서 "2028년까지 예정된 128조원 상당의 국내 투자를 차질 없이 이행해 국내 일자리 창출에 적극 기여하겠다"는 뜻을 드러냈다.
16일 재계에 따르면 SK그룹은 인공지능(AI), 반도체, 에너지, 바이오 등 그룹 주력사업을 중심으로 끊임없는 국내 투자와 고용을 이어가 이재명 정부의 'AI 3대 강국(AI G3)' 비전을 비롯해 국내 산업 발전에 동참한다.
128조 규모 국내 투자가 대표적인 사례다. 우선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는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고부가 메모리 수요 급증과 공정 첨단화로 기존 계획 대비 투자비가 대푝 증가하고 있다. 정확한 금액은 SK그룹 측에서 별도 집계 중이다.
반도체 수요와 업황에 따라 단계적으로 투자를 확대해 팹 4기가 완료되면 용인 클러스터에 대한 투자 만으로도 6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최태원 회장은 "시장 수요에 따라 팹 건설 속도는 조절하겠지만 팹 1기당 청주 M15X팹 6개와 맞먹는 용인 클러스터를 총 4기 건설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SK그룹 관계자는 "용인 클러스터에 대한 투자액이 과거 예측보다 더 커졌는데, 이는 AI 수요로 고성능 부가가치 공정이 늘고 첨단화 설비 투자가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SK그룹은 국내 일자리 창출에도 적극 기여할 방침이다. 매년 8000명 이상을 채용하고 있으며 계속 확대할 예정이다. 반도체 팹 1기마다 2000명 이상의 추가 고용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팹 건설 속도에 따라 팹 1기당 1만4000~2만명의 직·간접적인 고용 효과가 생길 것으로 보고 있다.
또 SK하이닉스는 국내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반도체 상용화 테스트를 위한 8600억원 규모 트리티니 팹을 정부와 공동 구축 중이다.
이와 함께 SK텔레콤·SK브로드밴드는 아마존, 오픈AI 등 미국 빅테크와 협력해 한국 동남부와 서남부에 각각 수조원 규모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해 한국이 동북아 AI 허브가 될 수 있도록 기여할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