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김밥·편의점 음식…외국인 관광객 매료시킨 'K-푸드'

  • 외국인 관광객 '한국 맛집투어' 관심 증가

  • 라면·김밥 등 '한국인의 일상 음식' 인기

서울 명동이 관광객과 시민 등으로 붐비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 명동이 관광객과 시민 등으로 붐비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음식은 단순한 끼니를 넘어 문화와 일상을 경험하는 특별한 여정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들은 최근 K-푸드에 매료됐다. 2024년 잠재 방한 여행객 조사에 따르면 외국인이 한국 방문 시 가장 하고 싶은 활동은 '맛집 투어(15.7%)'다. 특히 '한국인의 일상 음식'이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한국관광공사가 2018년부터 2025년 7월까지 외국인 신용카드 소비 건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음식 소비는 전통 한식을 넘어 한국인의 일상 속 K-푸드로 확장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외국인에게 한국 음식은 김치, 불고기, 비빔밥과 같은 전통메뉴가 대표적이었다면 최근에는 온라인을 통해 확산한 라면, 김밥, 길거리 간식 등이 주목받고 있다.

한국관광 데이터랩에 따르면 카드 결제 데이터의 연평균 성장률(CAGR)이 가장 높은 메뉴는 △아이스크림(35.0%) △편의점 음식(34.0%) △와플·크로플(25.5%) 순이다. 또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카페(890만건) △베이커리(300만건) △햄버거(230만건) 순으로 결제 건수 비중을 차지했다. 전년 같은 기간 대비 성장률 역시 각 29.5%, 36.2%, 38.2%로 상위권에 올랐다. 

아울러 한국에서는 한정판, 협업 제품, 지역 특산물 토핑 등 '한국식 변주'가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 것으로 확인됐다. 햄버거 결제가 이뤄진 상위 10개 브랜드 중 여섯 개가 국내 프랜차이즈였으며 글로벌 브랜드도 한국에서만 맛볼 수 있는 전용 메뉴와 특색 있는 매장을 선보이며 외국인을 끌어들이고 있다.

편의점도 진화하고 있다. 단순히 접근성 높은 쇼핑 장소가 아니라 라면부터 간식까지 고를 수 있는 '여행 메뉴판'으로 인식된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분석(2023년 1월~2025년 7월) 결과 편의점 관련 게시물의 40.1%가 음식과 연결돼 있었다. 

주요 키워드는 △라면(14.1%) △커피(10.5%) △과자(7.0%)다. 실제 2025년 1월부터 7월까지 편의점 카드 결제 건수는 약 1300만건으로 K-푸드 업종 중 가장 많았다.

한국인의 일상 음식도 외국인 관광객들에게는 특별한 한 끼로 받아들여진다. 국수·만두(55.2%), 감자탕(44.0%)이 2025년 7월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인 메뉴로 나타났다. 

전통 간식도 SNS 확산과 함께 재조명되고 있다. 떡·한과에 대한 소비가 76.9% 성장했다. 특히 해외 SNS에서 유행한 '꿀떡 시리얼'은 30만건 이상의 '좋아요'를 기록하며 국내 기업의 신제품 출시로 이어지기도 했다.

이미숙 공사 관광데이터전략팀장은 "최신 트렌드가 전 세계적으로 실시간 공유되면서 한국인의 일상이 외국인에게 새로운 경험으로 확산되고, 다시 한국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상호작용이 관광업계에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며 "공사는 이러한 변화를 선제적으로 포착해 관광정책 및 인바운드 마케팅 수립 등에 적극 반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