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간 무역협상이 급물살을 타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경제·통상 고위 관계자들이 잇따라 미국 워싱턴DC를 방문하며 막판 협상전에 돌입했다. 3500억 달러(약 500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 구성을 둘러싼 이견이 좁혀질지 주목된다.
이달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한을 계기로 한미 무역협정이 최종 타결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16일(현지시간) 워싱턴DC 상무부 청사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과 회동했다. 이 자리에는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도 함께했다.
김 장관은 현지 도착 직후 “(협상을) 잘 하겠다”며 말을 아꼈다. 그는 지난 4일 뉴욕에서 러트닉 장관을 만난 지 불과 2주 만에 다시 회동한 것으로, 양측이 협상의 막판 조율 단계에 들어섰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용범 실장은 “양국이 그 어느 때보다 진지하고 건설적인 분위기 속에서 협의 중”이라며 “국익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협상이 마무리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 장관과 김 실장은 이날 백악관 업무시설인 아이젠하워 행정동을 찾아 러셀 보트 백악관 예산관리국(OMB) 국장과 약 50분간 면담을 진행했다. 양측은 한미 조선산업 협력 사업인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마스가’는 지난 7월 한미가 무역협상 큰 틀에 합의했을 당시 한국 측이 제안한 프로젝트로, 미국의 조선산업 재건을 위한 공동 투자 구상이다. 한국의 조선기술 역량과 미국의 인프라를 결합해 ‘포스트 반도체 협력 모델’로 평가된다.
김 장관은 회동 후 “(마스가와 관련해) 여러 건설적인 이야기를 나눴다”며 “구체적인 프로젝트 구상에 대한 논의가 오갔다”고 말했다.
김용범 실장도 “OMB는 조선 프로젝트에 중요한 역할을 맡을 부처”라며 “한미 조선 협력의 의미를 공유하는 것이 이번 방문의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주요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 및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 참석차 현재 미국을 방문 중이다.
구 부총리는 카운터파트인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에게 3500억 달러를 전액 선불 투자할 경우 한국 외환시장 안정성이 흔들릴 수 있다고 우려를 전달했다.
그는 16일 IMF 본부에서 특파원단과 만나 “미국 실무진은 한국의 입장을 이해하고 있지만, 결국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할 수 있을지가 변수”라며 “대통령의 결단에 따라 최종 협상 결과가 달라질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 안팎에서 이달 말 트럼프 대통령 방한 이전에 양국 간 협상 윤곽이 잡힐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온다. 하지만 우리 정부 측이 투자금 전액 선불 지급에 반대하며, ‘채권·지분·보증’ 방식의 분할 투자를 주장하면서 이번 워싱턴 회동이 협상 교착 상태를 풀 ‘결정적 전환점’이 될지 주목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