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정부 첫 국정감사가 나흘째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최재해 감사원장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한 전산망 마비 사태에 대해 "저희도 모니터링하고 있고, 필요 시 감사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최 원장은 16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감사원 국정감사에서 송석준 국민의힘 의원이 '전산망 마비 사태에 대한 감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하자 이같이 답했다.
다만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의 조사를 받은 경기 양평군 공무원이 사망한 사건에 대해서는 내부 규칙을 들어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최 원장은 "특검의 수사 행위는 저희 내부 규칙상 직무감찰 대상에서 배제된다"며 "어렵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다음 달 임기가 끝나는 최 원장은 조배숙 국민의힘 의원이 소회를 묻자 "청문회를 준비한 4년 전을 돌이켜보면 감사원 내부 출신 최초의 원장이라는 자부심도 있었지만 거기에 대한 막중한 무게감도 있었다"고 돌아봤다. 이어 "후배들이 다 보고 있는 상태에서 잘하고 마쳐야 된다는 그런 게 굉장히 컸었다"며 우회적으로 아쉬움을 표했다.
다만 최 원장은 박균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활동이) 후회되지 않나'라고 묻자 "아쉬운 점은 있었지만 후회할 정도까지는 (아니다)"라고 답했다. 감사원장 임기는 4년으로, 최 원장은 다음 달 12일 퇴임한다.
앞서 최 원장은 지난해 12월 윤석열 전 대통령 관저 이전 의혹 감사 등 논란으로 국회에 의해 탄핵소추된 바 있다. 국회에서 감사원장에 대한 탄핵안이 통과되며 직무가 정지된 것은 헌정사상 처음이었다. 그러나 지난 3월 헌법재판소는 "부실감사라고 볼 만한 다른 사정은 보이지 않는다"며 최 원장에 대한 탄핵소추를 기각했다.
아울러 이날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설치한 쇄신 태스크포스(TF)를 두고 여야 공방이 벌어졌다.
여당 소속 위원들은 윤석열 정부 당시 문재인 정부를 겨냥한 감사원의 '서해 공무원 감사', '통계 조작 감사' 등을 "정치 표적 감사"라고 주장하면서, 쇄신 TF를 통한 진상 규명을 촉구했다. 반면 국민의힘 소속 위원들은 '전임 정권의 감사 결과 뒤집기'라며 반발했다.
최 원장은 '쇄신 TF'와 관련, "직제 규칙에 특별반을 운영할 수 있는 근거가 있다. (TF 운영과 관련해) 위원회 의결을 거친 감사 결과를 뒤집겠다는 뜻은 절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과거 감사) 과정과 관련해 여러 가지 비판의 목소리도 있었다. 과연 그런 일이 진짜 있었는지 보고 저희들이 반성하고 고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