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무역 협상의 최종 타결을 앞두고 막바지 조율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전문가들은 양국이 이달 말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전까지 협상을 마무리할 것으로 내다보며 이번 합의가 ‘미·일 무역협정’과 유사한 형태로 귀결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15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APEC 정상회의 전망을 주제로 열린 한미경제연구소(KEI) 세미나에서 커트 통 아시아그룹 파트너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이 임박하면서 양측이 무역 협상에 집중하게 만들고 있다"며 "일정 부분 진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통 파트너는 "한미 무역 합의는 미일 무역 합의와 상당히 비슷할 것"이라며 "그 외의 어떤 합의안도 한국 대통령이 정치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번 합의는 합리적인 수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통 파트너는 그러면서 한국 정부가 시간을 갖고 미국과 협상을 진행해온 데 대해 "현명한 접근"이라며 "만약 한국이 시간적 압박에 합리적이지 않은 조건을 받아들였다면 결국 나중에 재협상을 해야 했을 것이고 양자 관계에도 좋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이 일시적으로 조금 더 높은 관세를 부담하더라도 나쁜 합의를 서둘러 체결하는 것보다는 아마 나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미 경제외교를 담당하는 안세령 주미대사관 경제공사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달 말 방한이 공식 발표되지 않았지만, 그전까지 무역 합의가 이뤄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안 공사는 "안보·투자·무역·기술 협력 분야에서도 한미 간에 진전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의 주요 기업은 미국과의 협상이 마무리되지 않은 탓에 경쟁사들에 비해 불리한 위치에 놓여 있기에 협상이 조만간 마무리된다면 좋을 것"이라며 "그러나 이 대통령이 반복해서 강조했듯이, 합의는 반드시 상업적으로 합리적이고, 상호 이익적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 공사는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을 찾더라도 APEC 주요 행사에 참석하지 않을 가능성과 관련, 미국과 긴밀히 협의 중이라며 "APEC의 성공에 있어서 미국 대통령의 참석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이 참석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앞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김용범 대통령 정책실장이 곧 미국을 방문해 관세 인하에 대한 후속 회담을 가질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은 한미 무역협상의 최종 타결 전망과 관련해 ”빠른 속도로 서로 조율하는 단계“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