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무형유산축전, 화락연희' 오는 23일 개최

  • 무형유산 공연·전시·체험 등 한자리…전주 국립무형유산원

2025 무형유산축전 세부 프로그램
2025 무형유산축전 세부 프로그램

국가유산청 국립무형유산원은 오는 23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26일까지 전북 전주시 국립무형유산원에서 다양한 무형유산을 한 자리에서 경험할 수 있는 무형유산 종합축제 '2025년 무형유산축전, ‘화락연희'(이하 축전)를 개최한다고 15일 밝혔다.

축전에서는 ‘흥’을 주제로 한 다양한 무형유산 공연을 만나볼 수 있다. 23일 개막공연 ‘무형유산의 시작’에서는 김덕수 명인의 신명나는 사물놀이를 시작으로, 올해 탄생 100주년을 맞이한 국가무형유산 남도들노래 고(故) 조공례 보유자의 모습을 인공 지능(AI)으로 복원하여 제자들과 한 무대에서 교감하는 ‘명인오마주’ 공연이 펼쳐진다. 이어 판소리꾼 겸 가수 최수호의 무대를 비롯해 전 출연진이 함께 호흡을 맞추며 축제의 문을 연다.

24일에는 무형유산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을 보여주는 공연이 진행된다. 개막 첫날 미리보기 공연으로 열렸던 ‘명인오마주’ 본 공연에 이어, 국가무형유산 경기민요의 정수를 지켜온 이춘희 보유자와 전통의 틀을 넘나드는 창의적 소리꾼 이희문 이수자, 그가 이끄는 그룹 ‘오방신(申)과’가 함께해 경기민요의 지평을 확장하는 특별한 기획공연 ‘잇고 잇다’를 선보인다.

25일에는 무형유산의 정수를 보여주는 공연이 펼쳐진다. ‘명인전 - 명인명창시나위'에서는 국가무형유산 대금산조 이생강 보유자, 판소리(고법) 김청만 보유자, 판소리 김일구·김영자 보유자, 거문고산조 김무길 전승교육사, 부산광역시 무형유산 아쟁산조 박대성 보유자, 그리고 해금 연주자 김성아와 타악 연주자 김태영이 함께하는 시나위를 통해 서로의 호흡이 어우러지는 교감의 무대를 선사한다. 이어지는 ‘탈의 락, 장군의 굿’에서는 전통 탈춤을 소재로 혁신적인 무대를 선보이는 ‘박인선과 장군님들’이 무형유산의 깊은 울림을 신명나는 흥으로 승화하여 축제의 분위기를 고조시킨다.

26일 폐막공연 ‘화락, 끝에서 다시 피어나다’에서는 하림과 블루카멜앙상블, 소리꾼 이나래가 전통과 현대의 결을 잇는 상징적인 공연을 선보여 축제의 여운을 깊게 더한다.

이번 축전은 세대와 국경의 경계를 허물고 문화의 미래를 함께 나누는 데에도 초점을 맞춘다. 차세대 전승의 주역이 참여하는 ‘어린이 무형유산 발표회’,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 거주 고려인들이 선보이는 ‘재외동포 초청공연’도 개최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