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은 오는 13일부터 시작되는 국정감사에서 재계 증인 최소화·중복출석 지양·무한정 대기 관례 폐지 등의 방침을 정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의 국정감사 증인 채택에 있어 "철저히 원칙에 따라 결정하겠다"고 했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10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당에서 생각한 세 가지 원칙이 있다"며 "첫 번째로 재계 증인, 특히 오너 대표를 최소화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어 "여러 상임위원회에서 동일하게 채택하더라도 관련성이 가장 높은 상임위에서 집중적으로 질의하도록 하겠다"며 "마지막으로 질문 시간을 정해 무한정 대기하는 관례를 없애려고 한다"고 알렸다.
이에 대해 그는 "취합해 보니 중복되는 경우가 너무 많았다"며 "단순히 뒤에 자리를 채우는 증인들이나 꼭 참석이 필요 없는 증인들도 불러서 국감을 진행할 필요는 없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다만 "중요한 현안이 있는 경우는 예외"라며 "그 정도 현안이 아닐 경우 실무자가 충분히 답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또 국회 운영위원회 위원장도 맡고 있는 김 원내대표는 김 실장의 출석 문제가 정쟁화됐다며 "김 실장이 총무비서관으로 보임될 경우 인사 참사가 났다든지 해야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런 식의 논리면 김건희 전 여사를 불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김 실장 출석의 정쟁화는 명백한 야당의 행위"라며 "국정감사를 정쟁의 장으로 삼는 것은 용납하지 않겠다. 조만간 개최될 운영위에서 철저히 원칙에 따라 결정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당 안팎에서 제기되는 김 실장의 출석 문제에 대해 "개인 의견들을 고려할 필요는 없다"며 "그분들과 상의한 적도 없고 상의할 필요도 없다. 공식적인 의견은 운영위에서 결정한다"고 일축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