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마감] 기술주 중심 차익실현...동반 하락 마감

  • 엔비디아 장중 사상 최고치 경신

뉴욕증권거래소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뉴욕증권거래소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가 약세로 마감했다. 최근 급등세에 따른 차익실현성 매물이 몰린 영향이다. 엔비디아발 호재가 있었지만 전반적으로는 기술주에 차익실현성 매물이 몰린 영향이다.

9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43.36포인트(0.52%) 밀린 4만6358.42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8.61포인트(0.28%) 하락한 6735.11, 나스닥종합지수는 18.75포인트(0.08%) 떨어진 2만3024.63에 장을 마쳤다. S&P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장 초반 사상 최고치를 다시 경신하기도 했으나 이후 조정을 받았다.

엔비디아 주가는 장 중 3.27%까지 상승폭을 넓히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시가총액은 장 중 4조7000억 달러를 웃돌며 5조 달러를 눈앞에 두기도 했다. 미국 상무부 산하 산업안보국은 지난 5월 체결된 미국-UAE 양자 AI 협정에 따라 엔비디아에 수출 허가를 발급했다고 전날 발표했다. 다만 허가된 AI 칩의 수출 규모나 UAE의 투자 금액은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다.

AI 및 반도체 종목 위주로 구성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0.29% 하락했다. 전날 3% 넘게 급등한 후 숨 고르기에 들어간 분위기였다.

미국 연방 정부의 셧다운(일시 업무정지)은 이날도 해소되지 않았다. 미국 의회의 양당은 7주짜리 임시 예산안을 처리하기 위해 매일 표결에 나서고 있지만 계속 부결되고 있다.

업종별로는 필수소비재를 제외하고 모두 하락했다. 산업과 에너지, 소재는 1% 이상 밀렸다. 우량주 위주의 다우 지수는 경기순환주 전반에 매도세가 나타났다. 특히 미국 항공기 제조업체 보잉은 4% 넘게 떨어졌다.

시가총액 1조 달러 이상의 거대 기술기업은 엔비디아와 아마존, 메타가 상승했다. 알파벳과 애플은 1%대 하락률을 기록했다. 오라클은 최근 클라우드 부문의 마진 논란에도 불구하고 저가 매수세에 힘입어 주가가 3% 넘게 뛰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12월까지 기준금리가 50bp 인하될 확률은 81.5%로 반영됐다. 전날 마감 무렵은 79.2%였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 대비 0.13포인트(0.80%) 오른 16.43을 기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