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안전하고 똑똑하게" 가스공사, 전사적 디지털 전환 본격화

  • 가스공사, 'AI 대전환 위원회' 출

한국가스공사 본사 외경 사진한국가스공사
한국가스공사 본사 외경. [사진=한국가스공사]
한국가스공사가 안전한 일터와 국민 중심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전사적 디지털 혁신에 속도를 내고 있다. 위험요소 감지부터 복지 대상 선별까지 인공지능(AI)을 도입해 공공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업무 효율도 극대화하겠다는 전략이다. 

가스공사는 '안전한 일터, 행복한 국민, 유능한 공기업'을 목표로 경영 시스템 전반에 AI를 도입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AI 대전환 위원회'를 본격 가동한다고 밝혔다. 위원장은 경영관리부사장이 맡는다.
 
앞서 가스공사는 지난달부터 에너지 공기업 최초 '하이브리드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 사업을 시작했다. 내년 3월 말 오픈을 목표로 사내외 데이터를 연계 활용해 업무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가스공사는 이번 AI 대전환 위원회를 통해 전사적인 AI 도입·확산을 주도하고 국민 안전과 생명 보호, 에너지 복지 서비스 확대 등 국민 행복 증진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AI 기반 위험성 평가 및 사고 위험 분석 시스템을 구축한다. 빅데이터 기반의 위험성 평가를 통해 체계적으로 위험 요인을 식별하고, 작업 현장에는 지능형 CCTV를 설치·운영해 실시간 위험 요소 감시 및 위험 경보 자동 발령 시스템을 갖춰 나갈 방침이다.

또한 가스공사는 이미 산림청·기상청 등 9개 기관과 연계해 운용 중인 산불·폭우·지진 등 28종의 재난 경보 시스템에도 AI를 접목해 정밀성과 대응 속도를 높일 예정이다.
 
전국에 있는 가스공사의 천연가스 생산·공급시설에도 지능형 CCTV를 운용해 현장 재난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재난·현장별 특성에 맞게 맞춤형 대응 계획을 즉시 제공한다.
 
아울러 가스공사는 AI 기반 콜센터를 통해 복잡한 서류 신청 절차 없이 가스 요금 경감 대상자를 자동 선별, 고령자·장애인 등 취약계층도 혜택을 충분히 누릴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최연혜 가스공사 사장은 "AI 대전환은 단순한 신기술 도입을 넘어 일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혁신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공공서비스를 획기적으로 제고하는 기회"라며 "앞으로도 가스공사는 공공 부문의 AI 대전환을 선도하는 동시에 AI 대전환에 필수적인 에너지를 안정적이고 경제적으로 공급하는 국가 에너지 파수꾼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