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가 연이은 갤럭시 신작으로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리는 가운데 애플이 아이폰17 시리즈 출시로 하반기 스마트폰 시장 판도를 바꿀 수 있을지 주목된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애플은 현지시간 9월 9일 오전 10시(한국시간 9월 10일 새벽 2시) 미국 캘리포니아 쿠퍼티노의 애플 파크 캠퍼스에서 신제품 행사를 개최한다. 애플은 초슬림 아이폰17 에어를 비롯한 아이폰17 시리즈, 새 애플워치, 에어팟 등을 시장에 내놓을 예정이다.
가장 큰 변화가 기대되는 신제품은 아이폰17 시리즈다. 특히 '아이폰17 에어'는 초슬림·경량 디자인으로 젊은 소비자층 공략을 노린다는 전략이다. △두께 5.5mm △A19 칩 △단일 카메라 △배터리 수명 감소 △프로모션이 적용된 6.6인치 대형 화면 △eSIM 전면 적용 △애플 자체 C1 모뎀 △스카이 블루 색상 등이 주요 스펙이다.
시장에선 올해 2월 갤럭시S25 시리즈에 이어, 5월 갤럭시S25 엣지, 이달 갤럭시S25 FE까지 선보이면서 시장 공략에 적극적인 삼성전자와 애플의 격돌을 주목하고 있다. 특히 갤럭시S25 FE 출시를 두고 시장에선 삼성이 통상 연말에 선보이던 신제품을 두 달 앞당겨 공개한 것은 애플을 겨냥한 행보라는 분석이다.
갤럭시 흥행은 완성도 높은 디자인과 혁신적인 인공지능(AI) 기능으로 아이폰 선호도가 높은 젊은 층의 마음을 돌리는 데 성공한 점이 주효했다.
삼성은 연이은 신제품 출시로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리는 데 주력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캐날리스에 따르면 삼성은 올해 2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9%로 애플(16%) 제치고 1위에 이름을 올렸다. 애플 선호도가 높던 해외 시장에서도 가시적인 성과가 이어지고 있다. 인도 시장에서 초고가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에서 처음으로 애플을 앞질렀다. 일본 시장에서도 시장 점유율 10%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출하량을 60% 늘린 수치다.
업계는 아이폰 17시리즈가 선보이는 '슬림 혁신'과 'AI 혁신'에 따라 하반기 시장 판도가 바뀔 것으로 보고 있다. 애플은 지난해 9월 아이폰16을 출시하면서 약속했던 AI 신기능들을 업데이트하지 않고 무기한 연기하면서 소비자들의 신뢰를 잃은 바 있다.
일각에선 애플의 신제품 효과가 미미할 것이란 예상도 나오고 있다. 실제 뱅크오브아메리카(BoA) 보고서에 따르면 2026 회계연도 아이폰 출하량은 전년 대비 1% 증가한 2억3500만 대에 그칠 것으로 봤다.
업계 관계자는 "애플 인텔리전스 성능 향상 부재, 가격 인상, 카메라 기능 축소 등으로 인해 아이폰 17에 대한 시장의 기대는 크지 않은 분위기"라며 "반면 최근 삼성전자의 갤럭시Z 폴드7·플립7이 글로벌 시장에서 흥행을 이어가는 점이 애플로서는 부담일 것"이라고 봤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애플은 현지시간 9월 9일 오전 10시(한국시간 9월 10일 새벽 2시) 미국 캘리포니아 쿠퍼티노의 애플 파크 캠퍼스에서 신제품 행사를 개최한다. 애플은 초슬림 아이폰17 에어를 비롯한 아이폰17 시리즈, 새 애플워치, 에어팟 등을 시장에 내놓을 예정이다.
가장 큰 변화가 기대되는 신제품은 아이폰17 시리즈다. 특히 '아이폰17 에어'는 초슬림·경량 디자인으로 젊은 소비자층 공략을 노린다는 전략이다. △두께 5.5mm △A19 칩 △단일 카메라 △배터리 수명 감소 △프로모션이 적용된 6.6인치 대형 화면 △eSIM 전면 적용 △애플 자체 C1 모뎀 △스카이 블루 색상 등이 주요 스펙이다.
시장에선 올해 2월 갤럭시S25 시리즈에 이어, 5월 갤럭시S25 엣지, 이달 갤럭시S25 FE까지 선보이면서 시장 공략에 적극적인 삼성전자와 애플의 격돌을 주목하고 있다. 특히 갤럭시S25 FE 출시를 두고 시장에선 삼성이 통상 연말에 선보이던 신제품을 두 달 앞당겨 공개한 것은 애플을 겨냥한 행보라는 분석이다.
삼성은 연이은 신제품 출시로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리는 데 주력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캐날리스에 따르면 삼성은 올해 2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9%로 애플(16%) 제치고 1위에 이름을 올렸다. 애플 선호도가 높던 해외 시장에서도 가시적인 성과가 이어지고 있다. 인도 시장에서 초고가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에서 처음으로 애플을 앞질렀다. 일본 시장에서도 시장 점유율 10%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출하량을 60% 늘린 수치다.
업계는 아이폰 17시리즈가 선보이는 '슬림 혁신'과 'AI 혁신'에 따라 하반기 시장 판도가 바뀔 것으로 보고 있다. 애플은 지난해 9월 아이폰16을 출시하면서 약속했던 AI 신기능들을 업데이트하지 않고 무기한 연기하면서 소비자들의 신뢰를 잃은 바 있다.
일각에선 애플의 신제품 효과가 미미할 것이란 예상도 나오고 있다. 실제 뱅크오브아메리카(BoA) 보고서에 따르면 2026 회계연도 아이폰 출하량은 전년 대비 1% 증가한 2억3500만 대에 그칠 것으로 봤다.
업계 관계자는 "애플 인텔리전스 성능 향상 부재, 가격 인상, 카메라 기능 축소 등으로 인해 아이폰 17에 대한 시장의 기대는 크지 않은 분위기"라며 "반면 최근 삼성전자의 갤럭시Z 폴드7·플립7이 글로벌 시장에서 흥행을 이어가는 점이 애플로서는 부담일 것"이라고 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