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 당시 이재명 대통령(왼쪽)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시시때때로 바뀌는 미국 무역정책 관련 불확실성이 우리나라 올해와 내년 성장률을 각각 0.17%포인트, 0.27%포인트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관세가 부과되지 않더라도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소비와 투자, 수출에 악영향을 주면서다.
한국은행은 1일 공개한 '미국 무역정책 불확실성이 우리 성장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한·미 관세 협상이 타결되지 않고 불확실성이 내년까지 지속되면 관세에 대비하는 심리가 작용하면서 올해와 내년 우리 경제성장률이 각각 0.13%포인트, 0.16%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추정했다.
한은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커진 미국 무역정책 불확실성은 관세 부과 실현 여부와 관계없이 한국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부정적 영향은 경제주체의 심리 위축과 주가 하락 등을 통해 경제 전반으로 파급되기 때문이다.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대규모 고정비용을 수반하는 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과 투자 결정에 지장을 줄 수 있다.
[표=한국은행]
수출은 불확실성 발생 초기엔 관세 인상에 대비한 조기 선적 영향으로 일시적으로 증가하지만 이후 미국의 수입 수요 감소가 본격화하면서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